[연습문제][Lv.1] 1. 달리기 경주 - JS

나나콘·2023년 10월 28일
1
post-thumbnail

🚀 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8871)

🎈 문제 설명

얀에서는 매년 달리기 경주가 열립니다. 해설진들은 선수들이 자기 바로 앞의 선수를 추월할 때 추월한 선수의 이름을 부릅니다. 예를 들어 1등부터 3등까지 "mumu", "soe", "poe" 선수들이 순서대로 달리고 있을 때, 해설진이 "soe"선수를 불렀다면 2등인 "soe" 선수가 1등인 "mumu" 선수를 추월했다는 것입니다. 즉 "soe" 선수가 1등, "mumu" 선수가 2등으로 바뀝니다.

선수들의 이름이 1등부터 현재 등수 순서대로 담긴 문자열 배열 players와 해설진이 부른 이름을 담은 문자열 배열 calling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경주가 끝났을 때 선수들의 이름을 1등부터 등수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 5 ≤ players의 길이 ≤ 50,000
    • players[i]는 i번째 선수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 players의 원소들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players에는 중복된 값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 3 ≤ players[i]의 길이 ≤ 10
  • 2 ≤ callings의 길이 ≤ 1,000,000
    • callings는 players의 원소들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경주 진행중 1등인 선수의 이름은 불리지 않습니다.

🐣 입출력 예

players = ["mumu", "soe", "poe", "kai", "mine"]
callings = ["kai", "kai", "mine", "mine"]
result = ["mumu", "kai", "mine", "soe", "poe"]

🐥 입출력 예 설명

4등인 "kai" 선수가 2번 추월하여 2등이 되고 앞서 3등, 2등인 "poe", "soe" 선수는 4등, 3등이 됩니다. 5등인 "mine" 선수가 2번 추월하여 4등, 3등인 "poe", "soe" 선수가 5등, 4등이 되고 경주가 끝납니다. 1등부터 배열에 담으면 ["mumu", "kai", "mine", "soe", "poe"]이 됩니다.

🤹‍ 풀이과정

0. 자료구조 / 알고리즘 선택 및 복잡도 고려
callings 길이 100만
players 길이 5만

🥈 실패한 코드

처음에는 callings 배열 반복문 안에 players에 대한 indexOf를 사용하여 풀었는데 시간 초과로 테스트 케이스 4개가 실패했다.

제한 사항을 보면 players의 최대 길이는 50,000이고 callings의 최대 길이는 1,000,000이기 때문에 반복문안에 indexOf를 사용해서 O(n^2)이 되는데 최악의 경우에 50,000,000,000번 연산을 해야 하는 경우가 나와서 시간 초과가 나온 것 같다.

function solution(players, callings) {
    for(let i in callings) {
        const playerRank = players.indexOf(callings[i]);
        const beforePlayer = players[playerRank-1];
        
        players[playerRank-1] = players[playerRank];
        players[playerRank] = beforePlayer;
    }
    return players;
}

🥇 성공한 코드

function solution(players, callings) {
    const idxList = {};
    
  	// index값을 별도의 객체로 저장
    for(i in players) {
        idxList[players[i]] = i;
    }
    
    for(i in callings) {
      	// 불려진 player의 index
        const playerRank = idxList[callings[i]];
      	// 이전 player의 name
        const beforePlayer = players[playerRank-1];
        
      	// players의 이전 플레이어와 불려진 플레이어 변경
        players[playerRank-1] = callings[i];
        players[playerRank] = beforePlayer;
      
      	// index List의 각 플레이어의 index 값도 변경
        idxList[beforePlayer] = playerRank;
        idxList[callings[i]] = playerRank-1;
    }
    
    return players;
}

🥕 알게된점

object의 key로 접근할 때 bigO는 O(1)이다.

먼저, idxList 객체를 선언하고 key를 players의 name, value를 index 값으로 초기화해주었다.

다음으로 callings에 대한 반복문을 돌린다.
초기화해주었던 hash에 callings에 대한 요소(이름)로 key에 접근해서 value를 playerRank에 담아두었다.

불려진 player의 index를 받아왔고 이름이 불린 앞사람과 위치를 바꿔야 한다.

앞 player의 이름을 playerRank-1 값을 사용하여 players에서 찾고 beforePlayer라는 변수에 담아두었다

서로의 index 값을 바꿔주고, hash에 바뀐 index도 서로 바꿔 주면서 반복문을 끝까지 돌게 되면 끝이 난다.

이렇게 반복문 안에 indexOf를 돌렸을 때는 O(N^2)이지만 hash를 이용해서 O(N)으로 해결해 주었다.

💡 참고

[자료구조&알고리즘] 배열과 오브젝트 성능 평가 (Big O)

profile
지식을 기록하고, 경험을 코드로 남겨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