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 3기 3주차 WIL 2021.09.26~2021.10.02

CH_Hwang·2021년 10월 3일
0

항해99

목록 보기
4/14

2021.09.26

jwt 토큰 저장 위치에 대해서 알아봤다.

  • web storage
    웹 스토리지에는 세션스토리지와 로컬스토리지가 있다. 두 방법 모두 스크립트문을 통해서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자 단점이다.
    - 세션 스토리지의 경우 탭마다 각각 저장이 되어 다른 탭이면 서로 접근하기 어렵다는 점이 특징이다
    - 로컬스토리지의 경우 브라우저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어 브라우저를 종료해도 데이터가 보존된다. 도메인을 기준으로 저장되어있다.
  • 쿠키
    쿠키는 스크립트문으로 접근이 가능하지만 쿠키를 생성할때 httpOnly 옵션을 활용하면 스크립트문으로 접근을 막을수 있다 (xss공격에 대해 방어할 수 있다.)
    또한 secure 옵션을 통해서 https로만 통신이 가능하게도 할 수있지만 아직 https를 활용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사용해보진 않았다. 이를통해 보안을 높혀 줄 수있다.
    대신 csrf에는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토큰 자체를 csrf토큰을 사용하여 방지할 수 있다.

2021.09.26

항해톡 준비를 했다. 내가 발표할 주제는 https였고 발표자료 준비를 했다. 발표순서는 대강 잡았을때
1. 발표자 소개.
2. http 소개.
3. https에 사용되는 기술들에대한 개념 소개
로 결정했다. https에 사용되는 기술들은 아주 깊게들어가면 끝도없을 것 같아서 아주 얕은 지식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그래서 대칭키, 비대칭키, handshake등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하고자 발표자료를 준비했다.

2021.09.27

오후 7시에 https에 대한 항해톡 발표가 있어서 준비를했다. 발표자료는 오전중에 대부분 만들었고 오후에는 디테일한 발표순서를 정하고 그에 따른 발표자료를 조금씩 수정했다.

발표가 끝나고 리액트 분들중 잘하시는분 꺼를 보다가 사이드프로젝트를 따로 진행하고계시다는걸 알아서 나도 조금 분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node.js 교과서를 읽으면서 조금 개념적인 부분에서 지식을 강화해보자라는 생각을 했고 아직 모르는게 많고 더 배워야 된다는걸 깨닫고 더 열심히 해야겟다는 생각이 들었다.
노드 다른조원분들과 각자 코딩한걸 리뷰했다.
router.route로 리팩토링이 가능해보여서 내 코드에서 router 주소가 같은 것들을 묶었다.

다른분들이 도움을 요청하시거나 직접 찾아가서 도와드리거나를 조금 많이하다가 하루가 끝난것 같다. 내일은 책을 읽어보면서 조금 더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이든다.

2021.09.29

오늘은 하루종일 node.js 교과서를 읽고 휴식의 시간을 많이 가졌던것 같다.

2021.09.30

심화반이 시작했다.
수업을 오늘안에 다 끝낼생각이었지만 vscode mysql 확장설치하고 사용하는 부분에서 안되서 조금 시간을 많이 소비했다. 내가 이미 3306 포트를 사용하고있는것 같다고 멘토님이 말해주시면서 3308로 포트를 바꿔서 해보라고 하셨다.
우리는 docker를 이용하여 mysql을 사용하고 sequalize를 이용해서 mysql을 조금 쉽게 다룰 수 있도록 해주는데, ORM이라고 한다.

ORM이란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핑(연결)해주는 것을 말한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클래스를 사용하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을 사용한다.

2021.10.01

어렵다.
어제 4주차까지 듣고 잤는데(5주차는 많아서 오늘 했다.)
4주차 과제 해설영상을 봤을때 javascript 문법에서 object method 와 reduce같은 것들을 사용해서 객체를 수정하는 것들 활용하여 로직을 구현했다. 근데 이해가 하나도 안가서 자바스크립트 공부를 많이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
5주차 테스트코드를 하루종일 강의를 들었다.
테스트코드가 아주 중요한건 알겠는데, 내가 이걸 어떤걸 테스트 해야 되는지는 알겠지만 어떻게 테스트코드를 구현해야될지는 앚기 감이 많이 안잡히는 상태다. 조금 더 공부해야겠다.
일단은 5주차를 다 들어서 내일부터는 개인프로젝트를 시작해야되겠다.

2021.10.02

역시 개인프로젝트를 하니 어렵긴 하지만 내 코드를 이해하고 하면서 하다보니 재밌따. 강의는 남의코드를 만지면서 (특히나 짜지않은 프론트쪽 코드) 그 코드를 이해하는 편이다보니 너무 어렵고 흐름파악도 잘 안되는 느낌이었다면 내 코드는 내가 짠 로직을 가지고 (프론트까지) 하다보니 흐름파악이 조금 더 잘되는 느낌이었다.

리팩토링(폴더구조), 로그인 회원가입, 로그인 유무 판정로직 미들웨어(auth), 모듈 생성(에러 핸들러, 토큰생성, 회원가입 유효성체크) 등을 하다보니 이런 미들웨어에 대해서도 조금 더 이해가 되고 재밌던 것 같다.

미들웨어에서 다음 미들웨어로 변수를 전달해주기위해 조금 찾아보니 매우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는 것 같아 이걸 조금 더 알아보면 좋을 것 같다. 그 중 res.locals는 미들웨어에서 설정해줄 경우 rendering 해준 템플릿엔진에서도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좋았다. 조금 더 알면 가능성이 확대될 것 같다.

개인프로젝트 기능은 일단 거의다 완성했고 테스트코드만 남았다.

2021.10.03

오늘은 타입스크립트 스터디라는 제목을 달고 실상은 자바스크립트 문법 공부스터디인 모임을 했다.
코딩앙마라는 유튜버의 영상을 보면서 공부했다. 조금 더 딥하게 공부를 해야될 것 같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