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코딩 - Linux 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1) /bin
binary → bin )
(2) /sbin
/root)
(3) /etc
(4) /dev, /proc
Device Files, Process Information
(5) /var - Variable Files
/var 하위 디렉터리들은 어떤 프로그램 동작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var 하위 디렉터리에 저장된다./var 하위 디렉터리에 저장된다.
(6) /tmp - Temporary Files
(7) /home - Home Directories
cd ~ :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8) /boot - Boot Loader Files, /lib - System Libraries
(9) /opt - Optional add-on Applications
(10) /mnt, /media, /srv
(11) /usr
/bin, /sbin, /lib 등이 들어있다.
✔️ 하드웨어
Storage, Memory : 저장하는 공통점이 있다.
/bin, /sbin 등이 파일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내용을(필요한 내용들) cpu가 읽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Process : 명령어 (command, mkdir, top)
ps : 프로세스 리스트를 출력한다.
ps aux :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가고 있는 프로세스들을 출력한다.
sudo top
sudo htop
PID : 프로세스 ID (PID)USER :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사용자 IDPRI :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priority)NI : NICE 값. 일의 nice value값이다. 마이너스를 가지는 nice value는 우선순위가 높음.VIRT : 가상 메모리의 사용량(SWAP+RES)RES : 현재 페이지가 상주하고 있는 크기(Resident Size)SHR : 분할된 페이지,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된 메모리를 나눈 메모리의 총합.S : 프로세스의 상태 [ S(sleeping), R(running), W(swapped out process), Z(zombies) ]%CPU :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CPU의 사용율%MEM :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사용율COMMAND : 실행된 명령어
0[~], 1[~] 등 : 현재 나의 맥북에는 10개의 코어를 가지고 있다.
Memory : 16GB중 7.7GB 사용중
Load average : cpu(프로세서) 점유율
Tasks running : CPU가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