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저인터뷰

chanbro·2023년 6월 9일
0

product

목록 보기
1/1
post-thumbnail

용어

  • PLG
    Product Led Growth(제품 주도 성장)의 약자로, 제품을 주요 매체로 1) 고객 유치 2)빠른 제품 경험 3) 고객 활성화 4) 충성고객 유지 를 달성하도록하는 전략
  • PMF
    Product Market Fit의 약자로, 시장에 알맞는 제품 혹은 제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

배경

회사에서 새로운 시장 진출을 위해서 새로운 프로덕트를 찾고자 여러 MVP를 개발중에 있다. 그러다가

과연 MVP의 아이디어가 좋은지?
MVP가 PMF에 맞는지? 
아니라면 어떤 부분에 집중해야 하는지?

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지 고민하던중 유저 인터뷰에 대해 알아보게 되었고, 다음 MVP를 위해 준비하고자 한다.

왜 인터뷰를 해야하는가?

유저 인터뷰를 하면 시장의 반응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서 좋다는 얘기는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근복적인 이유는, 유저의 필요과 문제를 깊게 이해하기 위함이고 PMF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이며 제품을 피봇해나가기 위함이다.

유저 인터뷰 없는 피봇은 절대 유의미한 피봇이 될 수 없다.

서베이, 데이터 분석, NPS 등의 보조적 수단으로 대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주의할 점

유저와 인터뷰를 진행할때 고객의 칭찬이나 들을때 기분 좋은 말을 하면 인터뷰가 즐겁겠지만, 이건 프로덕트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유저 인터뷰에서 우리가 얻어야 하는 것은 프로덕트의 방향이고, 프로덕트의 방향은 유저의 행동 패턴과 유저가 이해해하는 문제와 해결책에서 찾게 되어 있다.

  • 유저의 문제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하게끔 대화를 주도해야 한다.

프로덕트 단계별 방법

Ideation

목표 : 프로덕트를 판매하는 것보다는 유저의 말과 행동을 통해 사업성에 관해 공부하는것

XXX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 문제 파악
XXX을 겪은 적은 언제 어디서인가요?
  • 문제의 맥락 파악
왜 XXX가 해결하기 어렵다고 생각했나요? 왜 해결하지 못했나요?
  • 유저들은 What? How? 보다는 Why?를 구매한다. 이 질문을 통해 유저에게 우리 프로덕트에 맞는 적절한 프레임을 찾아볼 수 있다.
XXX를 위해 어떤 해결책을 적용해봤나요?
  • 잠재적인 경쟁사 파악 및 경쟁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
적용한 해결책에서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은?
  • 경쟁사 혹은 대체재로부터 다른 기능을 구상해 볼 수 있다.

MVP 단계

XXX로 발생한 문제의 비용은 얼마인가요?
  • 잠재 유저가 문제 해결을 위해 사용할 비용을 예상
XXX는 얼마나 자주 발생하나요?
  • 문제 발생 주기를 통해 문제의 크기, 심각성을 파악
XXX를 해결하기 위해 확보할 수 있는 예산은?
  • 문제를 해결하고자하는 문제가 크더라도, 돈을 사용하기 싫은 문제라면 매출로 이어지지 않는다.

Post-Launching 단계

새로운 기능에 집중하기 보다는, 유저들이 우리 프로덕틀르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내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목적

신규 기능/제품 단순화

프로덕트는 기능 자체만으로는 크게 의미가 없고, 여러 개의 기능이 모였을 때 비로소 어떤 특정 문제를 해결해주는 솔루션이 된다.
이때, 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덜 중요하거나 아예 필요가 없는 기능이 제품 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제품의 복잡도를 높이고 사용성을 저해한다.
어떤 기능을 새롭게 추가하고 뺄지는, 결국 고객과의 대화를 통해 알아내고 검증 해야 한다.

리텐션/이탈 방지

고객과의 대화를 통해 이탈을 방지하고, 고객이 우리 제품을 통해 해결하고자 했던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또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했으나 근본적으로 왜 해결하지 못했는지에 대해 이해하는 것에 있다.
제품을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적용한 개선점들은, 다시 고객들의 높은 리텐션으로 이어진다.

프로덕트 포지셔닝

PMF를 찾지 못했더라도, 고객이 있으면, 분명 유저가 사용하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설령 그 이유가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케이스더라도 그 이유를 알아내면, 제품을 어떻게 포지셔닝해야 할지에 대한 감을 잡을 수 있다.

왜 우리 프로덕트를 사용하나요?
  • 리텐션, 프로덕트 포지셔닝에 대한 인사이트 도출
  •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는지, 우리 제품은 해당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주고 있는지 파악
우리 프로덕트를 좋아하나요?
  • 리텐션, 프로덕트 포지셔닝에 대한 인사이트 도출
  • 미처 생각하지 못한 프로덕트 무기 발견하거나 앞으로의 로드맵 구상 가능
우리 프로덕트를 싫어하는 이유
  • 이탈 관련 인사이트 도출
  • 신규 기능이나 개선점에 대한 분석
profile
이유있는 코드를 작성하는 서버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