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새로운 시장 진출을 위해서 새로운 프로덕트를 찾고자 여러 MVP를 개발중에 있다. 그러다가
과연 MVP의 아이디어가 좋은지?
MVP가 PMF에 맞는지?
아니라면 어떤 부분에 집중해야 하는지?
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지 고민하던중 유저 인터뷰에 대해 알아보게 되었고, 다음 MVP를 위해 준비하고자 한다.
유저 인터뷰를 하면 시장의 반응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서 좋다는 얘기는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근복적인 이유는, 유저의 필요과 문제를 깊게 이해하기 위함이고 PMF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이며 제품을 피봇해나가기 위함이다.
유저 인터뷰 없는 피봇은 절대 유의미한 피봇이 될 수 없다.
서베이, 데이터 분석, NPS 등의 보조적 수단으로 대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유저와 인터뷰를 진행할때 고객의 칭찬이나 들을때 기분 좋은 말을 하면 인터뷰가 즐겁겠지만, 이건 프로덕트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유저 인터뷰에서 우리가 얻어야 하는 것은 프로덕트의 방향이고, 프로덕트의 방향은 유저의 행동 패턴과 유저가 이해해하는 문제와 해결책에서 찾게 되어 있다.
목표 : 프로덕트를 판매하는 것보다는 유저의 말과 행동을 통해 사업성에 관해 공부하는것
새로운 기능에 집중하기 보다는, 유저들이 우리 프로덕틀르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내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목적
프로덕트는 기능 자체만으로는 크게 의미가 없고, 여러 개의 기능이 모였을 때 비로소 어떤 특정 문제를 해결해주는 솔루션이 된다.
이때, 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덜 중요하거나 아예 필요가 없는 기능이 제품 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제품의 복잡도를 높이고 사용성을 저해한다.
어떤 기능을 새롭게 추가하고 뺄지는, 결국 고객과의 대화를 통해 알아내고 검증 해야 한다.
고객과의 대화를 통해 이탈을 방지하고, 고객이 우리 제품을 통해 해결하고자 했던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또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했으나 근본적으로 왜 해결하지 못했는지에 대해 이해하는 것에 있다.
제품을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적용한 개선점들은, 다시 고객들의 높은 리텐션으로 이어진다.
PMF를 찾지 못했더라도, 고객이 있으면, 분명 유저가 사용하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설령 그 이유가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케이스더라도 그 이유를 알아내면, 제품을 어떻게 포지셔닝해야 할지에 대한 감을 잡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