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는 단항 데이터 타입과 Sequence(연속형) 데이터 타입이 있다. 오늘은 Sequence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파이썬에서 Sequence 데이터 타입은 4가지가 있다.
- list
- tuple
- set
- dictionary
파이썬에서 리스트란 원소들이 연속적으로 저장되는 형태의 자료형이다.
특징은 아래와 같다.
a = ['apple', 1, True]
b = [[1,2,3],[4,5,6]]
리스트와 매우 유사하지만 아래와 같은 차이점이 있다. 리스트와의 차이점이 튜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set은 파이썬에서 집합에 관련된 것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 만든 자료형이다.
특징은 아래와 같다.
a = [1, 2, 3, 3]
b = set(a)
print(b)
{1,2,3}
s1 = set([1,2,3,4,5,6])
s2 = set([4,5,6,7,8,9])
# 교집합
s1 & s2
>> {4,5,6}
s1.intersection(s2)
>> {4,5,6}
# 합집합
s1 | s2
{1,2,3,4,5,6,7,8,9}
s1.union(s2)
{1,2,3,4,5,6,7,8,9}
# 차집합
s1 - s2
{1,2,3}
s1.difference(s2)
{1,2,3}
dictionary는 이전 자료형과는 다르게 Key: Value 형태의 원소를 갖는 자료형이다.
특징은 아래와 같다.
dic = {'a':12,'b':13,'a':15}
print(dic)
>>{'a': 15, 'b':13}
dic = {'a':12,'b':13}
dic['a']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