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계 요구사항 분석

개념

  • 서로 다른 두 시스템, 장치, 소프트웨어를 이어주는
    중계 역할을 하는 연계 시스템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과정
  • 연계 요구사항 분석은 사용자 인터뷰 및 면담을 통해 식별되고, 시스템 구성도,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등을 참고한다.

연계 요구사항 분석 기법 및 참고문서

  • 분석 기법
    - 인터뷰
    사용자 면담을 통해 연계 요구사항 도출
    - 체크리스트
    시스템 운영 환경, 성능, 보안, 데이터 발생 주기 등의 기준에 대한 점검을 통한 분석기법
    - 설문지
    서비스 활용 목적에 따라 연계 필요 데이터 식별 및 연계 주기 등을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는 기법
    - 델파이 기법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통한 분석 기법
    업무 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
    - 브레인스토밍
    소속된 인원들이 자발적으로 자연스럽게 제시된 아이디어 목록을 통해 분석하는 기법
  • 분석 참고 문서
    - 코드 정의서
    공통 코드 정의서(코드 ID, 코드명, 코드설명 등)
    - 테이블 정의서
    데이터 모델링 정의서, 테이블/프로세스 연관도, 테이블별 컬럼 속성 저으이서
    - 응용 프로그램 구성도
    애플리케이션의 메뉴구성, 화면설계, 데이터 발생 시점, 주기, 발생 패턴 등 확인
    - 시스템 구성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 연계 대상 시스템 구성도

연계 요구사항 분석 참고문서

개체(Entity) 정의서

  • 데이터베이스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도출한
    개체의 타입과 관련 속성, 식별자 등의 정보를 개괄적으로 명세화한 정의서

테이블(Table) 정의서

  • 논리 및 물리 모델링 과정에서 작성하는 설계 산출물
  • 테이블을 구성하는 컬럼들의 속성, 인덱스(Index), 업무 규칙을 문서화한 것
  • 컬럼명, 데이터 타입(Type), 길이, 널(Null) 여부, 키(Key) 여부, 디폴트(Default) 값 등을 의미

인터페이스(연계) 명세서

  • 인터페이스(연계) 정의서에 작성한
    인터페이스 ID별로 송수신하는 데이터 타입, 길이 등
    인터페이스 항목을 상세하게 작성한다.

인터페이스 명세서 구성요소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방식, 주기 등을 기록한 현황을 작성한다.

인터페이스 ID

  •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명명 표준에 맞게 부여
  •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 식별성을 강화하기 위해 업무 분류 코드와 연속 번호를 같이 활용함

최대 처리 횟수

  • 단위 시간당 처리될 수 있는 해당 인터페이스 최대 수행 건수

데이터 크기(평균/최대)

  • 해당 인터페이스 1회 처리 시 소요되는 데이터의 평균 크기와 최대 크기

시스템 정보(송수신 시스템 각각 작성)

  • 시스템명, 업무 명, 서비스명/프로그램 ID, 연계 방식, 담담당자/연락처

데이터 정보(송수신 시스템 각각 작성)

  • 번호, 필드, 식별자 여부, 데이터 타입, 데이터 크기, 널(NULL) 허용 여부, 항목 설명, 조건, 매핑 규칙, 총 길이(Total Length), 추출 조건/SQL

연계 요구사항 분석 절차

1. 시스템 현황 확인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 네트워크 현황 확인

2. 정의서 확인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에서 연계하고자 하는 데이터 관련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확인

3. 체크리스트 작성

  • 질의 사항을 시스템(네트워크, 보안 등) 관점과 응용(데이터, 공통 코드 등) 관점에서 연계 분석 체크리스트 작성

4. 인터뷰 및 면담

  • 사용자 인터뷰 및 면담을 수행하고 회의록을 작성

5. 연계 요구사항 분석서 작성

  • 연계 시스템 구성 및 데이터 식별에 해당하는 내용에
    요구사항 ID를 부여하고 요구사항 분석서 작성

연계 시스템의 구성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연계 방식에 따라 중계 서버를 둘 수 있다.

송신 시스템

  • 연계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시스템

수신 시스템

  • 수신한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의 데이터를
    수신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

중계 서버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연계 데이터의 송수신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 연계 데이터의 보안 강화 및 다중 플랫폼 지원 등이 가능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연계 데이터 식별

  • 대내외 시스템 연계를 위해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데이터에 대한 상세 식별 정보를
    아래와 같이 확인하여 데이터 표준화에 참고한다.

연계 시스템 식별 정보

  • 대내외 구분 정보
    - 기업 내부 시스템인지 외부 기관 시스템인지 구분
  • 기관명
    - 대외 기관일 경우 기관명 기술
  • 시스템 ID
    - 시스템 식별 체계에 따라 부여된 식별 번호
  • 한글명
    - 시스템의 한글명
  • 영문명
    - 시스템 영문명(영문 코드)
  • 시스템 설명
    - 시스템에 대한 업무, 위치 등에 대한 부가 정보
  • 시스템 위치
    - 시스템이 설치된 위치(노드) 정보
  • 네트워크 특성
    - 네트워크 속도, 대역폭, 유의사항 등 네트워크 특성
  • 전용 회선 정보
    - 전용 회선을 사용할 경우, 전용 회선 연결 방법과 속도 등의 정보
  • IP/URL
    - 시스템 접속에 필요한 IP 또는 URL 정보
  • Port
    - 접속에 필요한 Port 정보
  • Login
    - 정보시스템 로그인 ID와 암호
  • DB 정보
    - 데이터베이스 연계 시 필요한 DBMS 유형, DBMS 로그인 정보
  • 담당자 정보
    - 해당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담당자 연락처

연계 데이터 표준화

  • 인터페이스 시스템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는
    규격화된 표준 형식을 정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 인터페이스 설계 단계에서
    송수신 시스템 사이에 전송되는 표준항목과 업무 처리 데이터,
    공통 코드 정보 등을 누락없이 식별하고 인터페이스 명세서를 작성해야 한다.
  • 인터페이스 데이터 공통부, 인터페이스 데이터 개별부, 인터페이스 데이터 종료부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데이터 표준

  • 인터페이스 데이터 공통부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을 포함
  • 인터페이스 데이터 개별부
    송수신 시스템에서 업무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포함
  • 인터페이스 데이터 종료부
    전송 데이터의 끝을 표시하는 문자를 포함하여 종료 표시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절차

1. 연계 범위 및 항목 정의

  • 시스템 간의 연결하려는 정보를 구체화하여 범위와 항목을 정의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에서 연계하고자 하는 각 항목의 데이터 타입 및 길이, 코드화 여부 등을 확인
  • 송수신 시스템의 연계 항목이 서로 다를 경우, 일반적으로 수신 시스템 기준

2. 연계 코드 변환 및 매핑

  • 연계대상 범위 및 항목 식별 이후,
    연계 정보 중 코드로 관리되는 항목을 변환해야 함.
  • 코드로 관리되는 정보는 검색 조건으로 활용

3. 연계 데이터 식별자와 변경 구분 추가

  • 송신된 정보가 수신 시스템의 어떤 데이터에 해당하는지 추출하기 위해서는 수신 시스템의 연계 정보에 송신 시스템의 식별 키 항목을 추가
  • 송신 데이터를 수신 시스템에 반영하기 위해서 송신 정보를 수신 시스템의 테이블에 추가, 수정, 삭제할 데이터인지 식별해주는 구분 정보 추가
  • 연계되는 정보의 송수신 여부, 송수신 일시, 오류 코드 등을 확인하고 모니터링 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에 관리 정보 추가

4. 연계 데이터 표현 방법 정의

  • 연계 대상 범위 및 항목, 코드 매핑 방식 등을 정의한 후 연계 데이터를 테이블이나 파일 등의 형식으로 구성
  • 구성된 연계 데이터는 응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연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점, 연계 주기, 적용되는 연계 솔루션의 지원 기능 등에 따라 다르게 표현 가능
  • 연계 데이터 표현의 기본적인 분류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파일의 형식이며, 파일의 경우에는 파일 형식에 따라 태그(Tag), 항목 분리자(딜리미터) 사용 등에 의해 상세화됨.

5. 연계 정의서 및 명세서 작성

  • 연계 항목, 연계 데이터 타입, 길이 등을 구성하고 형식을 정의하는 과정의 결과물로 연계(인터페이스) 정의서 작성
  • 연계(인터페이스) 정의서에는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현황 작성
  • 연계(인터페이스) 명세서는 연계(인터페이스) 정의서에 작성한 인터페이스 ID별로 송수신하는 데이터 타입, 인터페이스 항목을 상세하게 작성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