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UI 표준

junjun·2023년 9월 24일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6/21

📖 UI 표준

개념

  • 디자인 철학과 원칙에 기반하여
    전체 시스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화면 간 이동, 화면구성에 관한 규약

구성

  • 전체적인 UX 원칙
  • 정책 및 철학
  • UI 스타일 가이드
  • UI 패턴 모델 정의
  • UI 표준 수립을 위한 조직 구성

전체적인 UX 원칙

  • 사용자의 관점에서 사용자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UX 원칙 정의

정책 및 철학

  • 조직의 목표나 정체성을 포함하는 정책 및 철학 설정

UI 스타일 가이드

  • UI에 대한 구동 환경 및 레이아웃 등을 정의

UI 패턴 모델 정의

- CRUD 방식을 기반으로 데이터 입력, 출력 패턴 모델 정의

UI 표준 수립을 위한 조직 구성

  • UI 팀 및 표준 개발팀을 주축으로 추진 조직 구성

UI 스타일 가이드 구성

UI 구동 환경 정의

  • 컴퓨터 OS, 웹 브라우저, 모니터 해상도, 프레임세트를 확인 ( Client - Web으로 가정 )

컴퓨터 운영체제 확인

  • 기업이 운영하는 업무와 운영체제 확인

웹 브라우저 확인

  • 익스플로러, 크롬, 파이어폭스 등 기업 환경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정

모니터 해상도 확인

  • 모니터 해상도는 1280 X 1024 등 기본을 설정
  • 컴퓨터 작업 표시줄 및 브라우저의 기본 환경을 기준으로 스크롤이 생기지 않도록 설정

프레임세트 확인

  • 속도 및 업무 편의성을 고려하여
    각 영역별(Top, Left, Contents 영역) 프레임을 구분해 적용

<UI 레이아웃 정의 파트는...
교재에서 좀 너무 UI 표준에 대한 답을 정해버린 것 같아서
배제.. 스타일도 좀 오래 전 스타일인 것 같다. >

[ UI 스타일 가이드 요약 ]

  • UI 구동 환경 정의
  • 레이아웃 정의 ( 배치 / 메뉴 구성 등 )
  • 메뉴 네비게이션 정의
  • 공통 표준화면 정의
  • 기능 정의
    : 시스템 요구사항에 대한 개념 모델을
    논리적 모델( 프로세스 모델, UI 설계, 논리 데이터 모델, 아키텍처 정의, 인터페이스 설계 측면 )로 상세화하여 기능을 정의한다.
  • 구성요소 정의

UI 패턴 모델(Pattern Model) 정의

  • CRUD 방식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처리하는 화면 흐름을 포함한
    오퍼레이션 방식에 대한 표준 절차를 표시하고,
    UI 패턴 모델을 개발한다.
  • 표준 프레임워크로 개발하고, 유스케이스를 이용해서 패턴별 표준 개발 방법 총 7가지 영역을 정의한다.

패턴 별 표준 개발방법 정의

  • 업무 화면 클라이언트 정의
    : 제안 단계에서 결정된 클라이언트를 통해 설계자는 개발 시에 필요한 공통 요소 식별, 디렉토리 구성, 개발 환경 구축 부분 도출
    : 클라이언트에 출력되는 UI는 X-Internet과 같은
    리치 클라이언트 도구와 일반 JSP, HTML기반의 씬 클라이언트 방식이 존재한다.
리치 클라이언트( Rich Client ) : SW의 실행을 클라이언트에서 책임지는 기술 / 서버는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한 SW의 실행 코드를 스트림 형태로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SW 코드를 클라이언트 PC의 자원을 이용하여 실행하는 기술
씬 클라이언트( Thin Client ) :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전적으로 서버에서 책임지는 기술로, 서버에서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의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관리 및 실행하는 기술이다.
  • 서버 컨트롤러(Controller) 정의
    : 프레임워크를 도입한다면 해당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방식 채택
    : 별도의 클라이언트 제품을 도입하는 경우 서버 컨트롤러와의 연동 방식 결정

  • 서버 메시지 및 예외 처리 정의
    : 서버의 메시지 및 예외 처리를 클라이언트 UI에 전달하는 방식을 결정

예외처리 유형

  • S(System)
    시스템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메시지
    런타임 예외를 전달할 때 사용됨, 모든 트랜잭션은 자동으로 복원(Rollback)
  • E(Error)
    업무 처리 로직의 일환으로 애플리케이션 예외를 전달할 때 사용
    모든 트랜잭션은 자동으로 복원
  • I(Information)
    정상적인 업무 처리 결과나 관련 정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자 할 때 사용
    이 때 모든 트랜잭션은 커밋(Commit) 됨.

클라이언트 - 서버 간 데이터 변환 정의

  • 어떤 방식의 오브젝트(Object)를 사용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형태 변환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방안 마련

기업 포털 연계 정의

  • EP - SSO - 사용자 간 연계 방안을 URL 연계 시를 고려하여 정의
SSO(Single Sign On) : 한 번의 로그인을 통해 여러 다른 사이트들을 자동적으로 저 속하여 이용하는 방법

보고서 정의

  • 클라이언트와 리포트 솔루션 간의 연계 방식을 결정

외부 컴포넌트 연계 정의

  • 외부 UI 컴포넌트를 도입할 때, 서버와의 연계 방식으로 결정

UI 표준 수립을 위한 조직의 구성

  • 조직 구성 및 역할 정의
    효과적인 프로젝트 추진을 위하여 UI 팀 및 표준 개발팀을 주축으로 한 조직 구성을 확정
  • 커뮤니케이션 방안 수립
    UI 개발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정식 보고 및 정기적인 회의뿐 아니라 이슈 회의 등 다양한 방식의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마련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