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M은 객체 관계 매핑을 뜻한다. '객체'라는 개념을 구현한 클래스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쓰이는 테이블을 자동으로 매핑하는 것을 의미한다.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그것들이 출현된 background가 다르기 때문에 패러다임의 불일치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
• UI = User Interface컴퓨터라는 시스템과 사용하는 사람의 접점이 되는 지점ex) 웹의 버튼, 스크롤바 등등• API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코드의 형태를 띄고 있는 '개발자'들의 인터페이스. UI와 구분하기 위해
feedback: continue를 사용하면 쉽게 풀 수 있었던 문제. continue를 잘 사용하지 않다 보니 다른 어려운 문제들은 풀었는데 난이도가 중인 문제에서 진땀을 흘렸다. continue 키워드는 반복문 안의 반복 작업을 멈추고 처음으로 돌아가 다음 반복 작
9/29(목)feedback: 어떤 숫자의 제곱근이 정수이면 약수의 개수가 항상 홀수임을 이용하여 푼 방법도 있다. syntax: Number.isInteger(value). JS에는 수가 정수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기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던 문제.feedbac
> feedback: replace를 활용하는 문제. JS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아서 치환해주는 방법이 있다. syntax: string.replace(searchvalue, newvalue). 문자열에서 searchvalue를 찾아서 newvalue로 바꿔준다. 단
feedback: For number objects, toString(radix : in the range 2 through 36)을 사용하면 returns a string representation of the object in the specified radix.
feedback: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의 위치를 찾기 위해서 indexOf 사용 가능. string.indexof(searchvalue, position)이 method이며 1st parameter is the string I want to find, and the 2
feedback: 내 코드는 근본 중의 근본. Array(n)을 미리 만들어 x로 채운 후 안의 값을 map을 이용해 바꾸는 게 신박하다. > feedback: Algorithm(하)에서 새로 배운 개념들을 적용했다는 것에서 유의미했던 문제(reduce. fill.
풀었던 문제들 중 보완해야 할 코드들feedback: Math.abs를 사용하면 절대값 기능으로 Math.abs(-5) -> 5 이런 식으로 주게 됨. abs 기능 사용하면 굳이 else if, else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등차수열 공식 사용하면 한 줄로 끝날 코
1.call backcall back은 Synchronous, Asynchronous 모두 가능하다. call back을 잘못 사용하면 function이 다른 function을 불러내고 또 몇 초 뒤에 다른 function을 불러내게 되는데 너무 많은 콜백을 사용할 경
TIL 동기(Sync)와 비동기(Async)에 대한 개념 JS는 Async + Non-blocking Model을 채용하여 현재 실행중인 코드의 실행이 끝나지 않아도 다음 코드를 호출한다. • Synchronus: 하나의 코드가 끝나야지만 다른 코드 실행 가능 • A
개발자 시장에서 모르고 가면 무시당한다는 깃허브.처음에 설치가 계속 막혀서 힘들긴 했지만 막상 gitHub 사용해보니 zip파일 만들어서 카톡으로 보내주는 것보다 훨씬 편하다. 역시 아는 만큼 세상을 편리하게 살아갈 수 있다.1.당연히 우선은 github 가입.가입한
•binary search 이용하기low과 high boundary를 이용해서 midpoint와 low, 또는 midpoint와 high를 비교한 후 value를 계속 업데이트 해주는 것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requests = list(map(int
1. AWS의 필요성 웹 서비스를 런칭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항상 응답해줄 수 있는 서버가 필요한데 이럴 경우 1) 컴퓨터가 항상 켜져있고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어야 하고 2) 모두가 접근할 수 있는 Public IP Address로 나의 웹 서비스에 접근해
•Flask 프레임워크란?\-> 서버를 구동시켜주는 편한 코드 모음1) 클라이언트static directory(이미지, css파일) templates directory(index.html)2) 서버app.py\-> flask 서버를 구동시켜줄 때는 항상 위 3개의 파일
1. jQuery 사용하기 -> jQuery import css_에서는 class를 선택자로 했지만 _jQuery는 id를 선택자로 한다 a) input박스의 값을 가져오려면? b) 동적으로 html을 넣으려면? c) image/text 바꾸기 2. 서버-클라
\-> 웹페이지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 bs4: 웹페이지에서 crawling 용이하게 해주는 패키지(beautifulsoup4)i) 크롤링하고 싶은 부분에서 마우스 우클릭 -> 검사ii) copy -> copy selectori) SQL -> 행/열의 생김새가 정
*시작하기 전 설치한 파일들 :Pycharm professional :JetBrains :AWS(이후 배포하는데 필요)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하면,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HTML+CSS+Javascript를 준다. HTML(뼈대) •HTML: pycha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