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 과 Predicate에 정의된 메서드를 알아보자!Function에 정의된 메서드 test(), andThen(), compose(), identity() 위 코드에서 f1.andThen(f2)는 f1을 실행한뒤 f2를 실행한다.즉 f1에 의하여 x->3
람다식 혹은 람다함수는 함수형 언어의 특징에서 나온것으로 나중에 한번이상 실행할수 있는 코드블록을 말하며 실제구현에서는 익명 함수 형태로 사용된다.불필요한 코드를 줄이고, 코드의 가독성을 높여 이해를 도와준다.자바에서는 ->와 같은 화살표의 형태를 기호로 사용하여 매개
명령형 프로그래밍이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어떻게(how)에 집중하는 방식을 의미한다.선언형 프로그래밍이란 특정기능을 수행하기위해 무엇(what)에 집중하는 방식이다.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선언형 프로그래밍을 따르는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함수형 프로그래밍은
immutable: 불변의mutable: 변할수 있는Immutable이란 객체의 수정을 허용하지 않는다.즉 이미 존재하는 객체이더라도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여 재할당 한다.Mutable이란 객체가 생성된 이후 수정이 가능하며, 이미 존재하는 객체에 재할당(값 변경)한다.
length는 배열의 길이를 알고자 할때 사용한다length()는 문자열의 길이를 알고자 할때 사용한다.size()는 컬렉션 프레임워크 타입의 길이를 알고자 할때 사용한다. ex) ArrayList..
equals는 메소드이며, 객체끼리 내용을 비교할때 사용한다. == 는 비교를 위한 연산자이다.equals 메소드는 대상의 내용자체를 비교하지만==는 비교하고자하는 대상의 주소값을 비교한다.위 코드에서 보면 a==c 에서만 false 가 나오는것을 알수있다. 이러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