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der 와 언리얼

LJM·2022년 12월 19일
0

Intellij

목록 보기
2/3

visual studio 만 가지고 언리얼 강의 들으면서 코드 타이핑 해보면 불편한 부분들이 많다는것을 알 수 있다. visual studio에 자체 내장된 인텔리전스가 그다지 성능이 좋지 않아서 ctrl + space 를 아무리 눌러도 자동완성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그리고 vs는 2022 버전에서도 느린 캐싱(인텔리전스가 코드를 읽어들이는) 속도를 자랑(?)한다. 그리고 코드작업을 하다보면 어떤 특정 변수나 함수를 어디서 사용하는지 보고 싶을때가 있다. 아니면 함수의 구현부를 찾아서 보고 싶어서 찾아갈때가 있는데F12 키를 누른다. 근데 잘 못 찾는다 VS가 그래서 답답할때가 많음. 디버깅하다 열받는다;; 그래서 visual assisist를 사용하게 된다. 확실히 편리하다. 글자 한두개만 치고 ctrl+space 누르면 자동완성 추천이 잘 뜬다. alt+g 누르면 함수의 구현부 잘 찾는다. 근데 요새는 rider 라고 jetbrain 사에서 만든 언리얼 전용 IDE가 있는 모양이다. 얼마나 차이가 있을지 궁금하긴 하다. 테스트 해보기에 내 언리얼 프로젝트가 너무 작아서;; 그리고 시간도 부족하고 해서 좀더 검색을 해바야 겠다 rider가 vs+va 보다 훨씬 낫다면 갈아타보는것도 좋겠다
그리고 요새 백엔드 개발과정을 들으면서 jetbrain사에서 만든 intellij 를 가지고 자바 코딩 해보니 좋은거 같긴하다. 근데 eclipse 도 편해서 둘다 아직은 큰 차이는 모르겠다. 근데 IDE마다 단축키가 달라서 키매핑 바꿔주는게 귀찮다..

profile
게임개발자 백엔드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