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를 사용해봐야 할것 같아서
EC2에 인스턴스 2023리눅스 로 새로 시작하였다
도커 설치부분은 아마존 참고 하였다.
Amazon EC2 인스턴스에 Docker 설치 부분만 참고함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ECS/latest/developerguide/create-container-image.html#create-container-image-install-docker
EC2에 PUTTY 로 접속해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자
sudo yum update -y
sudo yum install docker -y
sudo service docker start
sudo systemctl enable docker
sudo usermod -a -G docker ec2-user
exit
한뒤 putty 로 재접속
이 명령어는 jenkins/jenkins:lts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컨테이너를 실행
docker run -d -p 8080:8080 -p 50000:50000 jenkins/jenkins:lts
나는 호스트의 7070 포트와 컨테이너의 8080 포트를 연결
젠킨스를 7070포트를 사용하게 하려고 7070을 사용하였다
//나의 경우는 7070으로 하였음..
docker run -d -p 7070:8080 -p 50000:50000 jenkins/jenkins:lts
젠킨스 컨테이너의 아이디는 젠킨스 컨테이너 풀받은 뒤에 출력된다
Status: Downloaded newer image for jenkins/jenkins:lts 밑에 있다
아래 명령어로 젠킨스 admin password 를 알아낼 수 있다.
<container_id> 부분에 젠킨스 컨테이너의 id로 대체하자
docker exec <container_id> cat /var/jenkins_home/secrets/initialAdminPassword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탄력적 아이피를 세팅하자.(구글링하면 다 나온다)
탄력적아이피:포트번호
를 사용해서 웹브라우저로 젠킨스에 접속한다
Install suggested plugins 선택
젠킨스가 알아서 필요한 플러그인을 설치한다.(솔직히 난 뭐가 필요한지 모르니까 알아서 해주니 편리함;;)
도커를 사용하니 훨씬 편하다 설치가 금방끝났다.. 포트변경작업(나의 경우 7070)도 따로 안해줘도 되고 완전 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