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_05_ARP_protocol

AMJ·2023년 8월 10일
0

네트워크_log

목록 보기
5/5

movie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주소로 MAC주소 알아내는 방식

  • ARP 구조 : 총 28 Byte
    • Hardware type : 1 Byte
      • 2계층 주소의 타입
      • MAC 주소 밖에 없다.
      • 0x0001 (0x : 16진수를 의미 / 0b : 2진수 / )
        ※ 16진수 1개 = 4bit = 0.5Byte
    • Protocol type : 1 Byte
      • 3계층 주소의 타입
      • IPv4 주소 밖에 없다.
      • 0x0800
    • Hardware Address Length : 0.5 Byte
      • 하드웨어 주소 길이 : 2계층 주소의 길이,
      • Mac주소 길이 > 6byte > 0x06
    • Protocal Address Length : 0.5 Byte

      프로토콜 주소 길이 : 3계층 주소의 길이

      • IPv4주소 길이 > 4byte > 0x04
    • Opcode(오퍼레이션 코드) : 2 Byte
      • ARP 요청(req) 패킷인지 ARP 응답(res) 패킷인지 알려주는 필드,
      • 0x0001이면 요청(req) 패킷,
      • 0x0002이면 응답(res) 패킷
    • Source Hardware Address : 6 Byte / 16진수 작성
      • 출발지 MAC 주소
    • Source Protocol Address : 4 Byte / 16진수 작성
      • 출발지 IP 주소
    • Destination Hardware Address : 6 Byte / 16진수 작성
      • 목적지 MAC 주소
    • Destination Protocol Address : 4 Byte / 16진수 작성
      • 목적지 IP 주소
#### ethernet Protocol 빼고는 
일반적으로 Source(출발지) / Destination(목적지) 순서로 되어있다.

최초 통신 : 상대방 MAC주소 알아오는 ARP 작동방식

  • 출발지 컴퓨터 : A ( ARP 요청)
    • ARP에서 모르는 목적지 MAC주소는 0으로 모두 채워(00:00:00:00:00:00) 인캡슐화
    • 알고있는 목적지 IP주소 넣어 ARP 작성완료
    • Ethernet(Eth) Protocol에서는 목적지 MAC주소에 1값으로 모두 채워 인캡슐화
    • 2계층 장비인 Switch가 2계층 까지만 디캡슐레이션 확인 후
    • MAC주소가 (FF:FF:FF:FF:FF:FF) > 브로드 캐스트 주소가 되어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 전부 패킷 뿌려짐
  • 목적지 컴퓨터 : C
    • 전달 받은 패킷 디캡슐 진행 및 확인
    • ARP까지 확인 후 불일치 시 패킷 버림
    • ARP까지 확인 후 일치한 ARP 응답 프로토콜 패킷 인캡슐화
    • A 컴퓨터로 보낸다.
  • 출발지 컴퓨터 : A
    • 전달받은 패킷 디캡슐 확인 후
    • ARP cache table 등록

  • broad cast

    • 자신의 호스트가 속해 있는 네트워크 전체를 대상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1:N 통신방식

cmd에서 arp 확인

$ arp -a 

Ethernet Frame 확인시 최소크기 | 최대 크기

최대 : 1518 Byte /

>+ MAC 헤더(14) + 최대 정보데이터(1500) + FCS(4)

최소 : 64 Byte > 모자를 시 padding 값 0으로 다 채워넣는다

>+ MAC 헤더(14) + 최소 정보데이터(46) + FCS(4)

Frame 2계층 / packet 3계층


참고사이트

https://ddarahakit.tistory.com/7
https://blog.naver.com/sujunghan726/220315439853

profile
재미있는 것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