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계층
-
3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 IP주소
-
IP주소
- 3계층 주소 체계,
- IPv4(Internet Protocol Address Version 4)
- 논리적인 주소 32bit = 4byte
-
IP 주소 표기 방식
- 10진수로 표기
192.168.0.100
처럼 각 필드를 .
으로 구분.
- 각 필드는 0~255까지 가능.
- 0 ~ 255 = 256 = 2^8 = 1byte로 표현할 수 있는 수
0.0.0.0 ~ 255.255.255.255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11111111 . 11111111 . 11111111 . 11111111
-
IP주소의 종류
- 네트워크 ID :
- 해당 네트워크 대역에서 가장 작은 IP주소, 해당 네트워크 대역을 대표하는 IP
- 브로드캐스트 주소 :
- 해당 네트워크 대역에서 가장 큰 IP주소, 해당 네트워크 대역에 모든 시스템에 통신을 할 때 사용하는 IP
- 호스트 할당 가능한 주소 :
- 해당 네트워크 대역에서 가장 작은 IP주소 +1 ~ 해당 네트워크 대역에서 가장 큰 IP주소 -1
- 게이트웨이 주소 :
- 해당 네트워크 대역에서 가장 작은 IP주소 +1 or 해당 네트워크 대역에서 가장 큰 IP주소 -1
-
IP주소의 역사
classful
IP주소
-> classless
IP주소
-> private
IP와 public
IP
-> IPv6
- IP 주소는 오랜 전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사용해오고 있는 네트워크 통신을 하는데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주소.
- But,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가 발전해오면서 IP주소는 점점 부족하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면서 IP주소는 다음과 같이 점점 발전해왔다.
classful IP주소

특수한 IP 주소
- 네트워크 ID
- IP주소 및 서브넷 마스크를 2진수로 표현 두 주소를 AND 연산
- 브로드캐스드 주소
- 호스트를 구분하는 주소 부분을 모두 1로 채움
- 사용 가능 IP 범위
- 네트워크 ID + 1 ~ 브로드캐스트 주소 -1 까지
classless IP주소
- 서브넷 마스크
- classful 네트워크 대역을 나눠주는데 사용하는 값
-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하는데 사용하고 어디서부터 호스트를 구분하는데 사용하는지 지정
- 32bit = 4바이트
- 255.255.255.192 ->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 2진수로 표기 시 1로 시작, 1과 1사이에는 0이 올 수 없다는 규칙
- ex) 192.168.100.68 | 255.255.255.192 와 같이 IP주소와 서브넷마스크를 쓰면?
- 192.168.100.0와 같이 C클래스에 해당하는 네트워크를
192.168.100.0
, 192.168.100.64
, 192.168.100.128
, 192.168.100.192
와 같이 4개의 작은 네트워크 대역으로 나눈 것이고 해당 IP 주소는 2번째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것.
- 서브넷팅
- 211.100.10.0/24 네트워크를 각 네트워크 당 60개의 호스트가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대역으로 쪼개면?
11010011.01100100.00001010. 00 000000
211.100.10.0/26
11010011.01100100.00001010. 01 000000
211.100.10.64/26
11010011.01100100.00001010. 10 000000
211.100.10.128/26
11010011.01100100.00001010. 11 000000
211.100.10.192/26
11111111.11111111.11111111. 11 000000
- 어떤 서브넷마스크가 효율적인가?
/26,255.255.255.192
- 몇 개의 네트워크 대역으로 나눠지는가?
4개
-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에 실제로 할당 가능한 호스트의 수는?
네트워크 ID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한 62개
- 마지막 네트워크 대역의 네트워크ID는?
211.100.10.192
- 첫번째 네트워크 대역의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211.100.10.63
- 두번째 네트워크 대역의 할당 가능한 IP 주소의 범위는?
211.100.10.65 ~ 211.100.10.127
사설 IP & 공인 IP

-
공인 IP
- 하나에 새로운 네트워크 대역인 사설 네트워크 대역을 생성
- 공인 IP 하나에 0.0.0.0~255.255.255.255의 IP를 생성
- naver나 ip 주소 조회/검색 시 나오는 ip
-
사설 IP
- 외부 네트워크 대역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 내부(사설ip)에서 외부(공인ip)로 나갔다가 들어오는 것만 가능
- 외부에서 내부로 직접 통신은 따로 설정을 통해서만 가능(포트포워딩)
- 장점 : 내부 네트워크의 보안 가능)
-
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호스트들은 사설 IP를 할당 받고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는 공인 IP로 변경되서 통신한다.
-
통신할 때 NAT Table에 해당하는 사설 IP를 기록하고 외부 네트워크에서 응답이 올 때 해당하는 기록을 보고 해당하는 사설 IP로 데이터를 전달
-
현재 거의 대부분의 일반용, 가정용 PC 에서는 사설 IP를 사용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특정 IP를 특정 IP로 바꿔주는 것
ex) 사설IP를 공인IP로 바꿔주는 것 / 공유기 역할 

참고사이트
https://ddarahakit.tistory.com/6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2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