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삭제 방식 3가지
- drop
- delete
- truncate
1. TRUNCATE
- 개념 : 테이블의 데이터를 전부 삭제하고 사용하고 있던 공간을 반납
- 설명
- 해당 테이블의 데이터가 모두 삭제되지만 테이블 자체가 지워지는 것은 아님
- 해당 테이블에 생성되어 있던 인덱스도 함께 truncate 됨
- 데이터가 1건도 없는 상태로 모든데이터 삭제, 칼럼값만 남음
- 용량도 줄고 인덱스 등도 모두 삭제
- 사용 : TRUNCATE TABLE
Table_A
;
2. DROP
- 설명
- 테이블 자체가 모두 지워지며, 해당 테이블에 생성되어 있던 인덱스도 삭제됨
- 오라클 10g부터는 테이블이 삭제되는 것이 아니라 윈도우의 휴지통 개념처럼 잠시 삭제됨 그리고 테이블 이름이 BIN$..로 변경됨truncate 됨
3. DELETE
- 설명
- 데이터만 지워지고 쓰고 있던 디스크 상의 공간은 그대로 가지고 있음
- 사용 : DELETE TABLE
Table_A
;

참고 사이트
https://lee-mandu.tistory.com/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