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이 나고 오한이 들어 집중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날이 갈수록 컨디션 관리가 중요한 것 같다.
멘토링 시간에 적극적으로 질문했다. 그 결과 실용적인 지식들을 많이 얻을 수 있었고, 프로젝트 진행시 더 이상 시행착오를 겪지 않아도 되는 부분들도 얻은것 같다.
몸이 많이 안좋았는데, 포기하지 않고 오늘 분량을 해냈다. 퀄리티가 많이 좋지는 않아 보이지만 그냥 안한것보다는 낫다고 생각한다.
@media screen and (min-width: 768px){
style..
}
위와 같이 html태그들의 부모-자식 관계를 나무의 형태에 빗대어서 DOM 트리라고 부른다. DOM 트리에서의 각 요소들은 노드라고 부르고, 인접한 노드의 관계에 따라 부모 노드, 자식 노드, 형제 노드라고 부른다.html태그들은 요소 노드(Element Node), 태그 안의 텍스트들은 텍스트 노드 또는 리프 노드(Text Node, Leaf Node)라고 부른다. 텍스트 노드는 자식을 가질 수 없다.
인접 노드 선택하기(children, parentElement, ElementSibling 프로퍼티)
myBtn.children[n] //n번째 자식 노드
myBtn.firstElementChild // 첫 번째 자식 노드
myBtn.lastElementChild // 마지막 자식 노드
myBtn.parentElement //부모 요소 노드
myBtn.previousElementSibling //이전 형제 노드
myBtn.nextElementSibling //다음 형제 노드
기본적으로 한 태그의 표준 속성은 객체의 프로퍼티처럼 점 표기법으로 접근가능하다. 하지만 비표준 속성값은 이 방법으로 접근 불가하다. (예: ul태그의 href속성)
요소.getAttribute(’속성이름’); →비표준 속성값도 접근가능
const ul = document.getElementById('my-ul');
ul.getAttribute('href');
요소.setAttribute(’속성이름’, ‘값’)
요소.removeAttribute(’속성이름’); → 속성 삭제
요소.style.스타일속성 = 원하는 속성값;요소.className = 그 클래스명;요소.classList.add(’추가할 클래스명’);몸이 너무 안좋아서 내가 다음에 뭘 해야 할 지 정리도 안된 채로 꾸역꾸역 했다. 컨디션관리가 필요할 것 같다.
컨디션이 좋지 않아도 해야할 일을 어쨌든 하는 게 멋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