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ypothesis: 기본이 되는 가설 / "어떻게 예측할 것인가?"
- Cost function: 가설이 제대로 설정된 것인지 확인
- Gradient descent algorithm: cost가 최적화 된 것인지 확인할 수 있음
*학습 값이 1개인 경우,
: H(x) = W(x) + b
**학습 값이 3개인 경우,
: H(x1, x2, x3) = w1x1 + w2x2 + w3x3 + b
cost function을 계산해야 한다.
왜? 예측값과 실제값의 비교이기 때문이다.
수가 많아지면, 언제까지나 계산을 늘릴 수 없으므로 "Matrix"가 활용된다.
Matrix = 행렬
3 0 2 1열,1행의 숫자 = 3
9 3 17 1열,2행의 숫자 = 9
예제 1번.
A = 3 0 2
9 3 17
B = 1 3
5 6
** A + B = ?
계산할 수 없다.
왜? A는 3열이지만, B는 2열이기 때문에, 같은 "열"끼리만 계산할 수 있다.
예제 2번.
[5,3] [3,1] 인 경우,
[5,1]로 계산할 수 있다.
X1 | X2 | X3 | Y |
---|---|---|---|
73 | 80 | 75 | 152 |
93 | 88 | 93 | 185 |
89 | 91 | 90 | 180 |
96 | 98 | 100 | 196 |
73 | 66 | 70 | 142 |
"X1, X2, X3" 을 기반으로 Y값 예측하기!
Xn에서 n의 값이 많을수록 정확하게 Y값을 도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