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 그리고 Codestates Pre course 회고, Immersive 과정 탑승과 앞으로 나아갈 길에 대하여

김형주·2021년 4월 5일
0
post-thumbnail

Codestates를 프리코스로 처음 접하다.

나는 제대로 과정을 읽어보지 않았고, 실패의 쓴 맛에 스스로를 달래기 위해 또 갈피를 못잡는 본인이 쉽게 걷기 위해 교육과정을 찾았던 것이 분명하다. 혼자 공부를 하다보니 게으름을 피웠고, 혼자 공부하다보니 계속해서 편한 길을 찾았던 것 같다. 자신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고를 떠나서, 그냥 눈으로 읽히면 나는 안다는 식으로 방관해왔던 것 같다. 뭐가 하고 싶은건지 뭐를 하기 싫은건지 스스로 판단하려면 자신만의 기준을 세워야하는 것이 먼저였는데 '마음이 급하다..', '지금 상황이...'라고 변명하며 무시해버렸다. 당연히 코드스테이츠에 지원한 것도 너무 단순한 마음가짐이었던 것 같다. 뭘하고 있는지 본인이 파악하지 못하니 남에게 답을 구하고자 했던 한심한 생각이 자리잡고 있었다. 처음으로 경로를 가지고 움직여보는 것에서 속으로 굉장히 편안함을 느꼈던 것 같다. 확신하지 못했던 오락가락한 마음이 얼추 중심잡기를 하는 것 같아서 속으로 '그래, 이정도면 되지 않겠어?'라는 생각이었다.

나는 어떤 사람이었나?

위에 조금 적어봤지만, 간단히 말하면 굉장히 우유부단한 사람이었다. 남들보다 조금 더 기억력이 좋았고, 순발력이 있었기 때문에 분에 넘치는 운과 함께 나름대로는 빛이 보이는 인생을 살아왔다. 고등학생때는 실력도 안되면서 대학은 SKY만 바라봤고, 원하는 대학보다 조금 못되는 대학에 입학하자 인생이 편 것처럼 행동했다. 대학을 다니면서는 대외활동에서 조금이라도 좋은 결과가 나오면 '역시 난 된 놈이야.'같은 한심한 생각들..

어차피 뭘 해도 어느정도는 하는데 말이야... 인생 뭐 있어?ㅋㅋㅋ

늘 사사건건 스스로에 대한 확신이 너무도 컸고, 자만은 넘쳐 흘러서 가끔은 주변에 불편한 생각도 들게하는 사람이었다고 생각한다. 뭔가 조금이라도 좋은 일이 생기면 내 탓, 조금이라도 안 좋은 일이 생기면 속으로 남탓하는 그런 사람이었다. (쓰면서도 속이 쓰리지만, 이런 걸 또 글로 남겨야 앞으로 더 성장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에 계속해서 적어보고 있다.) 그런 자신감은 하고 싶은 것을 찾는 것보다 흘러가는대로 살아도 괜찮다는 이상한 생각을 내 안에 자리잡게 했고, 결과적으로 20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평범하지도 못한 이상한 삶을 살게되었다. 운과 자만심으로 점철된 인생은 점점 이상해졌다. 뭘 해야할지 뭘 해도될지, 아무것도 생각할 수 없게된 나는 한동안은 방안에 틀어박혀 살기도 했다.

결과적으로는 돌이켜보면 인생은 절망의 구렁텅이에 빠진 것 같았다.

코드스테이츠의 회고록을 적어야하는데, 자신을 돌아보는 이상한 글을 쓰게된 것 같지만 여기까지 오는 길이 그랬다는 것을 스스로 돌아보는 기회를 가지고 싶어서 쓰게된 것 같다. 스스로도 자신감을 점점 잃어갔고 작은 성공조차 성취하지 못하는 사람이 되었던 것 같다. 그러던 와중에 우연찮게 방구석에 틀어박힌 내 재능을 알아봐준 좋은 사람들과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내놓기 거창한 단어같기도 하고 마치 내가 뭔가 해본 것 같다는 마법같은 자신감을 달아주는 단어.

스타트업

지금에 와서야 어찌됐던 간에 기회의 시발점이 된 것은 사실

나는 원래 건축디자이너를 꿈꿨었는데, 말도 안되는 페이와 근무환경에 항상 내 선택에 의문을 가졌다. 그러던 와중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작하는 스타트업에 초창기 팀원으로 참여하게되서 그동안 보지 못했던 시야가 트여졌다. 기기를 디자인하고, 내부에 들어갈 프로그램을 고려하고, 이것이 소비자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올지 시장성이 있는지 없는지와 같은 사실들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동안 내가 그동안 해오던 건축이라는 분야는 결국 건축물이라는 물건을 팔기위한 행위였기 때문에 재미있었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우습지만 이것을 기점으로 무형의 서비스를 판매하는 B2C 서비스 분야에 대해서 흥미를 느끼게 되었다. 이 기회를 통해서 프로그래밍이라는 분야를 처음 접하게 되었고, 나름대로 제대로 해보자는 생각에서 숭실대에서 유명한 프로그래밍 강의를 찾아가 듣기도 하고,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지금의 여자친구도 만나게 되었다.

그래서 왜 코드스테이츠를 선택했나?

사실 C언어와 C++언어를 공부하고나서 혼자서 이런 방향 저런 방향을 생각'만' 해보면서 혼자 공부하는 '척'만 해오고 있었다.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건, '척'이었다는 것이다. 딥러닝이 좋다더라, R언어 데이터 시각화가 좋다더라 같은 말들에 휘둘려 뭘 해야할지 뭐부터 시작해야할지 갈팡질팡하던 새에 시간이 점점 지나갔고 이내 학과에서 졸업요건인 사무소 인턴까지 마치면서 점점 더 마음은 조급해져갔다. 내가 하고싶은건 이게 확실한데, 이것도 많은 분야가 있었기 때문에 어떤 결정을 내려야할지 속으로 많은 걱정을 했던 것 같다. 졸업을 앞두고 크래프톤이라는 곳에서 주관하는 정글사관학교에 지원했었는데, 이때 최종 면접에서 불합격을 통보받은 이유가 역시 확신이 없는 내 생각을 그대로 들켰기 때문인 것 같다. 그 실패 이후로 속으로 많은 생각을 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를 가지게 되었다. 내가 진짜 하고 싶은 것이 뭔지, 뭐부터 시작해야하는지. 그러면서 소프트웨어 개발자 정확히는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혼자 매일 클론 코딩같은 것이나 하고 있던 때에 부트캠프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최근 코드라이언으로 훨씬 더 많은 각광을 받고있는 멋쟁이사자처럼 출신의 선배 덕분이었다. 스타트업도 하고, 혼자 개발도 해보고, 이런 저런 경험을 쌓고 나니 삽질이나 파고드는 것에는 익숙해졌는데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삽질하는 방향을 알려주는 나침표가 필요했다. 내가 필요로 했던 것은 어떤 교과서를 가르치는 강사나 교과서처럼 명확한 지도가 아니라 넓게 봐서 북쪽을 가르키는 그 기계장치, 방향을 알려주는 그 무언가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래서 나는 혼자서 공부하는 것에 일부 방향만을 알려주는 부트캠프, 그 중에서도 가장 기간이 오래되어 아웃풋에 어느정도 신뢰성이 있는 코드스테이츠를 지원하게 되었다. 인프런, 클래스101, 패스트캠퍼스 등 몇가지 수업을 신청해 들어봤으나(CS 개념강의정도는 지금도 듣고 있지만...) 내가 생각하는 방향성보다는 교과서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프리코스를 수강하면서 어떤 것들을 느꼈나?

서론이 나에 대한 이야기로 점철되어있지만, 결과적으로 이 글을 읽게 되는 사람들이 궁금할 것은 이것이라고 생각한다. 내 이야기가 아무리 장황하고 다양한 스토리를 담고 있다고해도 저마다의 스토리가 있고 저마다의 생각으로 코드스테이츠를 고려하고 있을테니.
결과적으로는 나는 프리코스에 대한 여러 회고록을 읽어보고 결정한 바, 충분히 만족하고 즐겁게 과정을 마쳤던 것 같다. 주니어 개발자가 아니라, 주ㄴ..ㅇ 개발자정도 되는 내가 프로그래밍이 어떻다 저렇다 왈가왈부하는 것도 웃기지만 결과적으로는 코딩이라는 것을 처음 접하고 공부를 시작한다면 정말 최고 좋은 코스가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과찬이라면 과찬이고, 광고같다면 뒤로가기를 해도 좋으나 과정자체는 되게 재미있고, 취지에도 맞는 교육이라고 생각이 든다.
굳이 코드스테이츠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알게되는 삽질의 중요성과, 그 삽질을 오래하면 오래할 수록 내 스스로가 강해진다는 그 프로세스를 교육과정으로 바꾼다면 이것과 비슷할 것이라는 생각을 참 많이 했다.

처음으로 프로그래밍을 공부한다면, 그런 생각을 많이 할거라고 생각한다. 프로그래밍은 코딩 방법의 AtoZ를 가져와서 책으로 형광펜을 줄줄이 그어가면서 개념을 요리 레시피 익히듯이 착착 외우고, 결과적으로 최고의 음식을 레시피대로 만들어내는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NO 이기 때문에 개념부터 찬찬히라는 과정을 찾고 있다면, 그건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겠다는 사람의 목표가 아니라 정량적 평가가 가능한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의 목표라고 생각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적어도 2년정도 접한 내가 느끼기에(물론 어느정도 정형화된 패턴이나 방식들이 있다고 하지만) 전체를 찍먹하는데에만 적어도 몇년은 소요될 것이고, 그걸 하나하나 머릿속에 순서대로 집어넣는 것은 불가능하다. 내가 생각하기에 프로그래밍이라는 것은 내가 필요한 것들을 하나하나 집어 넣다보면 그럭저럭 괜찮은 조각상(기술 스택들)이 쌓여가는 것이고 몇 가지 조각이 모이면 새로운 컬렉션(확장성)이 맞춰져 가는 그런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JavaScript와 http, css를 공부하며 웹을 공부했고, 거기에서 얻은 개념들을 python에서 확장시키고 python의 내용들을 기반으로 tensorflow로 확장시켜 새로운 조각들을 모으고 결과적으로는 js와 http로 구동되는 웹에 python의 서버를 연결시키고 tensorflow를 python 서버에 올려서 인공지능이 분석해주는 웹 서비스를 탄생시킨다. 뭐 이런 식으로 굴러가는거라고 생각한다.

만약 본인이 이런 조각들을 모아서 새로운 조각상을 만들어나가는 것에 재미를 느끼고 있고, 굳이 누가 보지 않더라도 어떤 성과나 목표를 위해서 자발적으로 움직이고 삽질할 줄 안다면(무언가를 알기위해 하루종일 한가지만 고민하는 것) 코드스테이츠 프리코스 과정은 충분히 즐겁고 유익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일부 방향성만을 안내받고 혼자서 try해보고 여기에서 무언가를 catch해낼 수 있다면 더 좋은 시너지를 낼 것이다.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한다면 이러한 방식에 익숙해질 수 있다고(는 확신을 못한다.) 얘기할 수 있다.

다만 아쉬웠던 점...

코드스테이츠 프리코스를 수료하면서 정말 좀 안타까웠던 것이 있다. 내 시간을 충분히 투자하고 스스로 공부하는 것에서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면 크게 문제될 것은 아니나, 개인적으로는 study 메이트가 되어서 개선점을 알아가고 리팩토링하는 과정을 충분히 거칠 수 있는 pair programming에 대해서 많은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내 코드를 내가 하루종일 보면 문제점을 찾기 어렵지만, 다른 시각을 가진 다른 사람이 내 코드를 보면 다른 해결책을 의외로 빨리 낼 수도 있고 그렇게 다른 시각도 얻어갈 수 있기 때문에.

다만, Part Pre course라는 전일제가 아니라 야간 위주로 이루어지던 교육과정이었기 때문이었는지 이직을 희망하고 지원한 사람들이 많았던 것 같은데,(FULL course 과정은 전일이 공부와 강의, pair programming으로 이루어져 있더라.) 많은 사람들이 주간에 일을 하고 퇴근하고 하기때문에 의욕을 잃은 사람들이 많아 Pair로 진행하지 못하고 대부분 Solo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것. 그건 조금 아쉬움으로 남는다. 근데 이 이후로는 커리큘럼에 조정이 있다는 걸로 봐서는 코드스테이츠 측에서도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는 것 같다.

앞으로 나아가야할 길

글을 쓰고자 하니 내 인생부터 돌아보고, 코스 과정을 선택한 계기부터, 듣고난 후기, 어떻게 공부하게 되는지 이런 많은 얘기를 담다보니 글이 길어지게 된 것 같다. 결과적으로 http와 Javascript그리고 Css 고차함수나, API 개념같은 것들을 많이 알게되었고 또 혼자 삽질하면서 더 자세히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수정 예정

profile
만물에 관심이 많은 잡학지식사전이자, 새로운 도전을 꿈꾸는 주니어 개발자 / 잡학지식에서 벗어나서 전문성을 가진 엔지니어로 거듭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