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티어를 사용하면 딱히 설정할게 많지 않다.
여기서 인스턴스 식별자는 그냥 인스턴스 명이고, 저 마스터 사용자 이름과 마스터 암호는 나중에 인스턴스에 접근할때 꼭 필요하기때문에 잊어버리면 안된다.
vpc라던지 그 외 설정들은 일단 기본값으로 설정했다.
해당 인스턴스가 생성되면, 엔드포인트가 생성되고 해당 인스턴스의 정보를 볼수 있다.
이때 보안그룹규칙
의 인바운드 규칙에서 포트를 열어주어야한다.
일단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 모든 트래픽에서 IP4, IP6를 다 열어주었다.
이렇게만 설정하고 터미널에서 mysql에 접속하려하면 ERROR 2003 (HY000) 60 이 에러가 계속 발생하는데, 텔넷으로 해당 엔드포인트에 접속하려해도 아예 접속 자체가 안된다. 즉 해당 인스턴스 자체가 열리지 않은 상태인것이다.
서브넷은 간단하게만 말하면 vpc 내에서 ip 주소 범위를 갖게 되는 하위 부분이다.
vpc는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 네트워크이다.
즉 rds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가상 네트워크의 ip부분이 현재 private이기때문에 인바운드 규칙을 열어주어도 에러가 발생했던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리소스 - vpc - 라우팅 테이블 섹션을 들어간다.
여기서 보면 rds의 라우팅 테이블이 존재한다.
이름이 없더라도 해당 인스턴스의 vpc 값을 비교해보고 선택하면 된다.
해당 테이블에서 0.0.0.0/의 주소를 갖는 라우팅을 추가해주면 된다.
그리고 인터넷 게이트웨이 옵션을 누르면 값이 나오는데, 그 값으로 설정해주면 된다.
그 후 터미널에서
mysql -h 엔드포인트 -u 마스터이름 -p
마스터비밀번호
를 입력해주면 정상적으로 rds 인스턴스에 접근이 가능하다.
워크벤치에서도 + 아이콘을 눌러서
host에 엔드포인트, 그리고 마스터 이름,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들어가면
아까 인스턴스를 생성할때 기본적으로 만들도록 했던 스키마가 생성되어서 접속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