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맨날 쓰는 패키지만 써서 그런지 파이썬 자체 프로그래밍 실력은 형편없다. 이렇게 된 김에 여기 문제는 전체 다 리뷰해보자
1.

- 기본적인 파이썬 함수 작성 법을 질문하는 문제
2.

- 파이썬 클래스를 작성하는 문제
- 먼저 클래스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class 키워드를 사용
- 기본적인 생성자의 경우 init(self, param) 으로 작성하기 때문에 답안처럼 작성
3.

- 최초 x 선언 시 튜플로 작성
- Expected Output의 자료형은 집합 자료형
- 집합자료형
set은 수학에서 이야기하는 집합과 비슷합니다.
순서가 없고, 집합안에서는 unique한 값을 가집니다.
그리고 mutable 객체입니다. (반면 tuple 은 immutable)
짝이 없이 {} 괄호를 사용하는 경우 집합자료형입니다.
- 때문에 set함수를 사용하여 자료형 변환
4.

5.

- 파이썬 list에서의 조작
- input리스트는 소문자, output리스트는 대문자이기 때문에 upper함수 사용 필요
- [x.upper() for x in list] 형식을 사용
* 리스트에 있는 요소를 하니씩 꺼내 x에 할당
6.

- 파이썬에서 파일 로드 방식을 질문하는 문제
- 구문을 외우면 끝
7.

- 파이썬의 주석기능이라고 생각하면됨
- 함수의 input과 output에 대해 상세하게 주석으로 남겨두면 코드 운영에 용이함
- 작성시에는 """를 설명의 앞/뒤에 붙임
- 확인 시에는 함수명.doc로 호출 가능
8.

- 파이썬에서 간단한 함수의 경우 def대신 lambda로 작성 가능
- 나의 실수는 뒤에 x,y 두개의 변수가 있는데 x 하나만 작성한것
- 기본적인 형태는 lambda x:x라고 생각하면 됨
9.

- 파이썬의 딕셔너리
- {key : value} 로 값을 넣어 관리
- 해당 key값에 대한 value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는 []괄호를 사용하여 호출 가능
10.

11.

- 위에서 설명한 [x.upper() for x in list] 과 동일한 구조
12.

- 파이썬의 enumerate를 for 문과 함께 사용
- index값과 for문에서 입력하는 리스트 값이 동시에 출력됨
13.

- 집합자료형을 사용하였으므로 중복을 제거한 리스트의 길이가 정답
14.

- 파이썬 iter객체에서 값을 가져오는 방식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 하나의 값만 빼오고 싶은 경우 next함수 사용
15.

- 이건 정말 몰랐다...
- python3에서는 함수 정의시 나타나는 화살표(-> )가 함수 리턴 값의 주석역할을 함
- 말 그래도 주석이기 때문에 있으면 좋지만 없다고 문제가 되지 않음
- 콜론(:)역시 비슷한 역할로 x:int라는 표현은 파라미터 x의 타입에 대한 주석
- 마찬가지로 주석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