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보려고 만든 개발자가 되어가는 과정들2021년 작년에 국비지원으로 6개월 디지털컨버젼스 자바기반 SW응용 엔지니어링 양성 훈련과정을 수료하였다. 하지만, 아직 취업하기엔 내가 너무 준비가 안된거 같고 기초도 다시 다져야 할거 같아서 취업은 아직 보류!광고로 많이
![] (https://velog.velcdn.com/images/boughpot/post/d88f7131-43ef-4725-b9be-ab0063ca6942/image.jpeg) ’, 오른쪽에 위치하면 ‘후위형(postfix)’ 전위형 : 값이 참조되기 전에 감소 시킨다. Ex) j = - - i; 후위형 : 값이 참조된 후에 감소 시킨다.
증가 연산자(++)는 피연산자에 저장된 값을 1 증가시킨다.증가 연산자가 피연산자의 왼쪽 위치하면 ‘전위형(prefix)’증가 연산자가 피연산자의 오른쪽 위치하면 ‘후위형(postfix)’전위형 : 값이 참조되기 전에 증가시킨다.Ex) j = ++i;후위형 : 값이 참
변수 :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상수 : 값을 한번만 저장할 수 있는 공간리터럴 :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 상수의 다른 이름(그냥 상수라고 하면 값을 저장할수 있는 공간으로 쓰이니깐 구분 짓기위해서는 다른 이름을 써야한다고 생각해서 그 다른 이름을 리터럴
상수는 변수와 마찬가지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다만, 한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변수 선언하는 방법과 동일하며, 변수의 타입 앞에 키워드 ‘final’을 붙여주면 된다.final int MAX_SPEED = 10;상수 MAX_SPEED를 선
<(꺽쇠괄호)<태그>내용</태그> 태그 사이에 내용이 채워져있고html 요소로소 작동이 된다.<태그> 열린태그, 시작태그</태그> 종료태그, 닫힌태그
상대경로(상대적인것)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목적지까지의 상대적인 경로를 의미한다../(나의 주변, 너의 주변.. 상대적인)../(상위 폴더에서 찾음)절대경로(절대적인것)처음부터 시작하여 목적지까지의 절대적인 경로를 의미한다.시작 지점부터 목표지점까지의 어느 누가 봐
meta 태그는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 HTML 문서의 맨 위쪽에 위치하는 태그로 HEAD 태그 사이 또는 뒤에 있어도 되지만 반드시 BODY 태그 앞쪽에 위치해야 한다.meta 태그는 HTML 문서(웹페이지)의 제작자(author), 내용, 키워드 같은 여러 정보를
script 태그는 자바스크립트와 같은 클라이언트 사이드 스크립트(client-side scripts)를 정의할 때 사용된다.script에 내부에 요소를 직접 명시하거나 src 속성을 사용하여 외부 스크립트 파일을 참조할수 있다.src는 Source 단어의 약어로 사용
link 태그는 외부 문서를 가져와 연결할때 사용된다.대부분은 CSS 파일이다.예를 들어link 태그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 페이지에는 css에 적어놓은 효과들을 사용할수 없고 이미지도 없는것이다.대부분의 html에는 link태그는 필수쓰여지고 있다.
문서의 HTML 버전을 지정HTML는 HTML1~5, XHTML 버전을 가지고 있다.현재 쓰는 버전은 HTML5이다.DOCTYPE(DTD, Documnet Type Definition)은 마크업 언어에서 문서 형식을 정의하며, 웹 브라우저가 어떤 HTML 버전의 해석
기본형에는 모두 8개의 타입(자료형)이 있으며, 크게 논리형, 문자형, 정수형, 실수형으로 구분된다.boolean을 제외한 나머지 7개의 기본형은 서로 연산과 변환이 가능하다.int는 CPU가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할수 있는 타입이기 때문에, 효율적인 실행보다 메모리를
사용하는 값(data)의 종류(type)는 크게 '문자와 숫자'로 나눌수 있다.숫자는 '정수와 실수'로 나눠진다.문자형(char)정수형(byte, short, int, long)실수형(float, double)등등..변수를 선언할때는 저장하려는 값의 특성을 고려해서 가
변하는 수값을 저장할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변수타입 변수이름;int age;변수타입: 변수에 저장될 값이 어떤 타입인지 지정하는것타입으로는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문자열형 등등..변수이름 : 변수에 붙일 이름,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붙여주는 것메모리 빈 공간에 변수타
컴퓨터는 우리의 언어를 이해하지 못한다.컴퓨터는 오직 0, 1만을 사용한다.0, 1을 우리는 2진수라고 부른다.1비트는 0 또는 1의 값을 저장할수 있는 메모리의 크기1바이트는 8비트1byte = 8b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