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tion3 - 311

mochi·2022년 12월 17일
0

부트캠프

목록 보기
6/9

Git


Git

  • 문서 수정을 기록하는 로컬 버전 관리 시스템

Git Hub

  • 깃의 원격 저장소(온라인 저장소)

Why?

컴퓨터는 언젠가 고장날 것이고, 자료는 반드시 백업해 두어야 한다. USB와 같은 저장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고 드롭박스나 구글 드라이브 같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 가운데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바로 Git Hub이다.




Process

전체 작업 과정은 로컬환경인 Git에서 작업한 뒤 온라인 저장소인 GitHub에 작업물을 올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local -> online

로컬 작업 공간은 크게 작업 트리, 스테이지, 저장소(repository) 3가지로 나뉘며 일련의 작업을 통해 작업트리에서 저장소로 파일을 이동시킨다.


1. 만약 hello.txt라는 문서를 수정하고 저장하면 그 파일은 작업 트리에 존재하게 된다.


2. 그 다음 **add**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스테이지에 넣고


3. **commit** 명령어를 사용하여 저장소에 버전을 만든 뒤


4. 마지막으로 **push** 명령어를 사용하여 로컬 저장소에 있는 파일을 온라인 저장소로 올리게 된다.




File Sycle

파일의 Life Sycle은 다음과 같다.

1. tracked
git은 한번이라도 commit된 파일을 계속하여 수정사항이 있는지 추적한다. 따라서 한번도 commit되지 않은 파일은 untracked상태이다.


2. modified
파일에 수정사항이 있다면 modified상태가 된다.


3. staged
add를 사용하여 스테이지에 파일이 이동한 상태이다. stage에서 commit하게 되면 파일수정 이전 상태인 unmodified가 된다.

profile
모치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