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을 자주 안쓰다보니 자꾸 잊어버리게 되는것 같습니다. 공부했던것을 토대로 다시 정리해서 공부해보려 합니다. 본 내용은 책 <이것이 MySQL이다>를 토대로 진행하였습니다.
인터넷에 검색하면 널린게 markdown에 관한것들이고, 이미 많이 쓰다보니 이제는 꽤 익숙해진 문법이지만, 표 정리하는 것이나 링크, 사진 넣는 방법은 가끔 까먹어서 정리하는 차원에서 기록하여 남겨봅니다.
이전 기술면접에서 WAS와 웹서버가 다른 점을 이야기 해보라는 질문에 대답하지 못했었던 경험이 있습니다. 그렇게 기술면접을 망치고...😭 [테코톡] 희봉의 웹서버 vs WAS의 영상을 보게되었습니다. 그래서... 이 글은 해당 영상을 정리하며 공부한 글이 되겠습니다.
MySQL에서 미리 Export 한 Data를 Data Import 시킬 때, 아래와 같은 1227 에러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REST API의 규약 중에는 "어플리케이션 상태에 대한 엔진으로써 하이퍼미디어" 일명 `HATEOAS` 규약이 있습니다. 이를 `Spring HATEOAS`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CI 서비스로 GitHub Actions을 사용할 때 민감정보가 들어가 있는 application.yml 설정파일을 숨기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서적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참고하며 Nginx를 통한 무중단 배포를 구현해 보겠습니다.
CI 도구로 Github Actions를 사용하여 AWS CodeDeploy와 함께 자동 배포를 구현해보겠습니다.
이전에는 Travis CI를 사용하여 자동배포를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기회에 Docker와 Jenkins 를 사용하여 배포를 구현해 보겠습니다.
Spring Framework는 객체 지향의 대표적인 언어인 자바를 활용하여 객체 지향의 특징을 잘 활용할 수 있게 해주며, 개발자들은 핵심 비즈니스 로직 구현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해주는 프레임워크.
REST 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써 '자원의 상태 전달'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아키텍쳐입니다.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 보면 정말 많은 탐색 알고리즘을 요구하는 문제들을 만납니다. 먼저 탐색(Search)이란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을 말하며, 문제에서는 주로 그래프, 트리 등의 자료구조 안에서 탐색하는 문제들이 자주 출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