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기초-2차원 배열
- [우리밋의 LAST 보너스 문제] 내 미래
해당 문제는 이차원 배열의 개념과 원리를 파악하기 위해 "우리밋"이 직접 만든 문제임을 알려드립니다. x축과 y축의 개념을 머릿 속에서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도록 훈련하기 위해 만든 문제입니다. 이 점을 기억하시고 아래 문제를 푸시길 바랍니다. 해당 문제를 배포하시거나 외부에서 사용하실 때는 "우리밋"을 한번씩만 거론 부탁드리겠습니다. 구독만 해주신다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훈련병인 철수는 교관의 지시에 따라야한다.
교관은 "좌로 1보, 하로 2보 가!"와 같이 좌,우,상,하로 이동할 것을 명령한다.
철수의 현재 위치가 입력으로 주어질 때 교관의 명령대로 이동한 위치는 어디일까?제한 조건 1. 철수의 현재 위치는 첫 입력 값으로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 ex) 1 1 => (0, 0), 5 4 => (4, 3) 2. 훈련소의 전체 공간 크기는 5*5 이다. 3. 교관이 지시한 명령은 절대 훈련소 공간을 벗어나지 않는다. 4. 좌는 왼쪽, 우는 오른쪽, 상은 위쪽, 하는 아래쪽으로 한다. 5. 입력은 좌,우,상,하의 순서대로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 ex) 3 2 3 3 => 좌로 2보, 우로 2보, 상으로 3보, 하로 3보 이동.
입력
3 3 1 2 1 3
출력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Tip:: 좌표를 (i, j) 라고 볼 때 좌우로 이동은 j(가로축), 상하로 이동은 i(세로축)임을 기억하자.
- 내 풀이)
respwan = list(map(int, input().split())) l, r, u, d = map(int, input().split()) hor = r-l ver = d-u x = respwan[0]+hor-1 y = respwan[1]+ver-1 pos = [x,y] for i in range(5): if i != pos[0]: for j in range(5): print(0, end="") else: if j != pos[1]: print(0, end="") else: print(1) print("\n") print(pos)
- 강의 풀이)
# 1 cur = tuple(map(int, input().split())) lf, rgt, up, down = map(int, input().split()) coords = [[0 for _ in range(5)] for _ in range(5)] move = ( cur[0] -up +down, cur[1] -lf +rgt ) coords[move[0] -1][move[1] -1] = 1 for crd in coords: print( *crd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2 numpy사용 import numpy as np cur = tuple(map(int, input().split())) lf, rgt, up, down = map(int, input().split()) coords = np.zeros((5,5), dtype = int) move = ( cur[0] -up +down, cur[1] -lf +rgt ) coords[move[0] -1][move[1] -1] = 1 for crd in coords: print( *crd )
접근 자체는 비슷하였지만 자세한 풀이 방법에서 차이가 나서 결과까지 가지 못하였다.
- 바둑판에 흰 돌 놓기
영일이는 아버지와 함께 두던 매우 큰 오목에 대해서 생각해 보다가 "바둑판에 돌을 올린 것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을까?"하고 생각하였다.
바둑판(19 * 19)에 n개의 흰 돌을 놓는다고 할 때, n개의 흰 돌이 놓인 위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입력
바둑판에 올려 놓을 흰 돌의 개수(n)가 첫 줄에 입력된다. 둘째 줄 부터 n+1 번째 줄까지 흰 돌을 놓을 좌표(x, y)가 n줄 입력된다. n은 10이하의 자연수이고 x, y 좌표는 1 ~ 19 까지이며, 같은 좌표는 입력되지 않는다. 5 1 1 2 2 3 3 4 4 5 5
출력
흰 돌이 올려진 바둑판의 상황을 출력한다. 흰 돌이 있는 위치는 1, 없는 곳은 0으로 출력한다.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Tip:: 파이썬에서는 2차원 배열(행렬)을 쉽게 다룰 수 있도록하는 numpy 라이브러리가 있다. 문제에서 요구하는 방식대로 출력하기 위해 '*(Asterisk)'를 사용하였다.
- 내 풀이)
import numpy as np fx = np.zeros((19,19), dtype = int) count = int(input()) for i in range(count): x,y = map(int, input().split()) fx[x-1][y-1] = 1 for final in fx: print( *final )
- 강의 풀이)
import numpy as np n = int(input()) baduk = np.zeros((19,19), dtype=int) # baduk = [[0 for _ in range(19)] for _ in rnage(19)] for _ in range(n): x, y = map(int, input().split()) baduk[x-1][y-1] = 1 for bd in baduk: print(*bd)
- 바둑판에 십자 뒤집기
부모님을 기다리던 영일이는 검정/흰 색 바둑알을 바둑판에 꽉 채워 깔아 놓고 놀다가...
"십(+)자 뒤집기를 해볼까?"하고 생각했다.
바둑판(19 * 19)에 흰 돌(1) 또는 검정 돌(0)이 모두 꽉 채워져 놓여있을 때, n개의 좌표를 입력받아 십(+)자 뒤집기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입력
바둑알이 깔려 있는 상황이 19 * 19 크기의 정수값으로 입력된다. 십자 뒤집기 횟수(n)가 입력된다. 십자 뒤집기 좌표가 횟수(n) 만큼 입력된다. 단, n은 10이하의 자연수이다.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2 10 10 12 12
출력
십자 뒤집기 결과를 출력한다.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Tip:: 파이썬에서는 2차원 배열(행렬)을 쉽게 다룰 수 있도록하는 numpy 라이브러리가 있다. 문제에서 요구하는 방식대로 출력하기 위해 '*(Asterisk)'를 사용하였다.
- 내 풀이)
baduk = [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 count = int(input()) for _ in range(count): x, y = 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19): baduk[x-1][i] = 1 if baduk[x-1][i] == 0 else 0 baduk[i][y-1] = 1 if baduk[i][y-1] == 0 else 0 for final in baduk: print( *final )
- 강의 풀이)
# 1. 초기 십자 바둑판 입력 baduk = [] for _ in range(19): matrix = list(map(int, input().split())) baduk.append(matrix) # 2. n과 좌표 값을 입력받고 그에 따라 십자 형태에 맞춰 흑->백, 백->흑으로 변환 n = int(input()) for _ in range(n): # n번 입력 x, y = map(int, input().split()) # x와 y 좌표 입력 for i in range(19): # 변환 baduk[i][y-1] = 1 if baduk[i][y-1] == 0 else 0 # 0->1, 1->0으로 변환 baduk[x-1][i] = 1 if baduk[x-1][i] == 0 else 0 # 0->1, 1->0으로 변환 # 3. 변환된 값을 한 줄 단위로 출력 for i in range(19): print(*baduk[i])
- 설탕과자 뽑기
서론 부모님과 함께 유원지에 놀러간 영일이는 설탕과자(설탕을 녹여 물고기 등의 모양을 만든 것) 뽑기를 보게 되었다. 길이가 다른 몇 개의 막대를 바둑판과 같은 격자판에 놓는데, 막대에 있는 설탕과자 이름 아래에 있는 번호를 뽑으면 설탕과자를 가져가는 게임이었다. (잉어, 붕어, 용 등 여러 가지가 적혀있다.)
격자판의 세로(h), 가로(w), 막대의 개수(n), 각 막대의 길이(l),
막대를 놓는 방향(d:가로는 0, 세로는 1)과
막대를 놓는 막대의 가장 왼쪽 또는 위쪽의 위치(x, y)가 주어질 때,
격자판을 채운 막대의 모양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입력
첫 줄에 격자판의 세로(h), 가로(w) 가 공백을 두고 입력되고, 두 번째 줄에 놓을 수 있는 막대의 개수(n) 세 번째 줄부터 각 막대의 길이(l), 방향(d), 좌표(x, y)가 입력된다. [입력값의 정의역] 1 <= w, h <= 100 1 <= n <= 10 d = 0 or 1 1 <= x <= 100-h 1 <= y <= 100-w 5 5 3 2 0 1 1 3 1 2 3 4 1 2 5
출력
모든 막대를 놓은 격자판의 상태를 출력한다. 막대에 의해 가려진 경우 1, 아닌 경우 0으로 출력한다. 단, 각 숫자는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1 1 0 0 0 0 0 1 0 1 0 0 1 0 1 0 0 1 0 1 0 0 0 0 1
Tip:: 파이썬에서는 2차원 배열(행렬)을 쉽게 다룰 수 있도록하는 numpy 라이브러리가 있다. 문제에서 요구하는 방식대로 출력하기 위해 '*(Asterisk)'를 사용하였다.
- 내 풀이)
import numpy as np h, w = map(int, input().split()) n = int(input()) set = np.zeros((w,h), dtype = int) for _ in range(n): l, d, x, y = 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h): if d == 0: if i >= x-1 and i <= l-x: set[x-1][i] = 1 i += 1 else: if i >= l-y and i <= y-1: set[i][y-1] = 1 i += 1 for answer in set: print( *answer )
- 강의 풀이)
h, w = map(int, input().split()) shape = [[0 for _ in range(w)] for _ in range(h)] n = int(input()) for _ in range(n) : l, d, x, y = map(int, input().split()) x, y = x-1, y-1 if d == 0 : for i in range(l) : shape[x][y+i] = 1 else : for i in range(l) : shape[x+i][y] = 1 for s in shape : print( *s )
조금은 더 쉽게 생각해보는게 풀이에 도움이 될 것 같다.
- 성실한 개미
**서론** 영일이는 생명과학에 관심이 생겨 왕개미를 연구하고 있었다. 왕개미를 유심히 살펴보던 중 특별히 성실해 보이는 개미가 있었는데, 그 개미는 개미굴에서 나와 먹이까지 가장 빠른 길로 이동하는 것이었다. 개미는 오른쪽으로 움직이다가 벽을 만나면 아래쪽으로 움직여 가장 빠른 길로 움직였다. (오른쪽에 길이 나타나면 다시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이에 호기심이 생긴 영일이는 그 개미를 미로 상자에 넣고 살펴보기 시작하였다. 미로 상자에 넣은 개미는 먹이를 찾았거나, 더 이상 움직일 수 없을 때까지 오른쪽 또는 아래쪽으로만 움직였다.
미로 상자의 구조가 0(갈 수 있는 곳), 1(벽 또는 장애물)로 주어지고,
먹이가 2로 주어질 때, 성실한 개미의 이동 경로를 예상해보자.
단, 맨 아래의 가장 오른쪽에 도착한 경우,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는 경우, 먹이를 찾은 경우에는 더이상 이동하지 않고 그 곳에 머무른다고 가정한다.
미로 상자의 테두리는 모두 벽으로 되어 있으며, 개미집은 반드시 (2, 2)에 존재하기 때문에 개미는 (2, 2)에서 출발한다.입력
10*10 크기의 미로 상자의 구조와 먹이의 위치가 입력된다. 1 1 1 1 1 1 1 1 1 1 1 0 0 1 0 0 0 0 0 1 1 0 0 1 1 1 0 0 0 1 1 0 0 0 0 0 0 1 0 1 1 0 0 0 0 0 0 1 0 1 1 0 0 0 0 1 0 1 0 1 1 0 0 0 0 1 2 1 0 1 1 0 0 0 0 1 0 0 0 1 1 0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1
출력
성실한 개미가 이동한 경로를 9로 표시해 출력한다. 1 1 1 1 1 1 1 1 1 1 1 9 9 1 0 0 0 0 0 1 1 0 9 1 1 1 0 0 0 1 1 0 9 9 9 9 9 1 0 1 1 0 0 0 0 0 9 1 0 1 1 0 0 0 0 1 9 1 0 1 1 0 0 0 0 1 9 1 0 1 1 0 0 0 0 1 0 0 0 1 1 0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1
Tip:: 문제에서 요구하는 방식대로 출력하기 위해 '*(Asterisk)'를 사용하였다.
입력 예시 값
ant_house = [ [1, 1, 1, 1, 1, 1, 1, 1, 1, 1], [1, 0, 0, 1, 0, 0, 0, 0, 0, 1], [1, 0, 0, 1, 1, 1, 0, 0, 0, 1], [1, 0, 0, 0, 0, 0, 0, 1, 0, 1], [1, 0, 0, 0, 0, 0, 0, 1, 0, 1], [1, 0, 0, 0, 0, 1, 0, 1, 0, 1], [1, 0, 0, 0, 0, 1, 2, 1, 0, 1], [1, 0, 0, 0, 0, 1, 0, 0, 0, 1], [1, 0,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1] ]
- 내 풀이)
ant_house = [ [1, 1, 1, 1, 1, 1, 1, 1, 1, 1], [1, 0, 0, 1, 0, 0, 0, 0, 0, 1], [1, 0, 0, 1, 1, 1, 0, 0, 0, 1], [1, 0, 0, 0, 0, 0, 0, 1, 0, 1], [1, 0, 0, 0, 0, 0, 0, 1, 0, 1], [1, 0, 0, 0, 0, 1, 0, 1, 0, 1], [1, 0, 0, 0, 0, 1, 2, 1, 0, 1], [1, 0, 0, 0, 0, 1, 0, 0, 0, 1], [1, 0,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1] ] for i in ant_house[1]: if ant_house[1][i] == 1: ant_house[1][i] == 9 for j in ant_house[i]: if ant_house[i][j] == 1: pass ant_house[i][j] == 9 for finish in ant_house: print( *finish )
- 강의 풀이)
ant_house = [] for i in range(5): matrix = list(map(int, input().split())) ant_house.append(matrix) print('===================') x, y = 1, 1 while ant_house[x][y] != 2: if ant_house[x][y] == 0: ant_house[x][y] = 9 y += 1 else: x += 1 y -= 1 ant_house[x][y] = 9 for house in ant_house : print( *house )
항상 쉽게쉽게 생각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