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상태검증을 할때 EXPECT_EQ 매크로를 자주 사용하여 검증한다. 이때, 정수나 문자열이 아닌 사용자가 정의한 구조체
TEST() 는 전역 함수 또는 간단한 클래스들에대한 unit tests를 작성시 사용 TEST_F() 는 Test Fixture 의 줄임말 여러 테스트에서 같은 구성의 Data Set 사용하고자 할 때 유용 → 같은 구성을 재사용 객체 형태로 설정하여 테스트 가능
bitbake: d.getVar("X", True) what does True mean?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7041117/bitbake-d-getvarx-true-what-does-true-meand.getVar위
Object가 비결정적 결과를 return할 때 (현재 시간, 온도 등)Object가 재현 또는 구현하기 힘든 상태를 가질 때 (network error)Object의 동작이 느릴 때 (Test 전에 초기화 되어야 하는 DB)Object를 아직 구현하지 않았거나 동작이
회사에서 gtest프레임워크로 unit test(단위테스트)를 수행하여 gtest에 관하여 알게된 것들 정리하려고 한다google test framework 간단소개설치 및 간단 실행방법google test 주요 Macro 정리gmock 정리GCov, LCov 이용하여
문제자체가 이해하기 매우 난해한 문제이다.예시를 기반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먼저 Alice가 A, K 두 숫자를 고른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두 숫자이다.)다음으로 Bob이 2 ≤ x ≤ A + 1 - k를 만족하는 정수 x를 고른다.이때, 예를들어 A=12, K=2
git pull 명령어는 git fetch 명령어와 git merge 명령어를 순서대로 실행하는 명령어다. git pull 명령어는 로컬 브랜치와 원격 브랜치의 이력 차이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함부로 실행해서는 안 된다. 가능하면 git fetch 명
bfs 탐색시 자판의 행이 약간씩 비스듬히 있어서 살짝 햇갈리는 듯 보이지만그냥 직사각형으로 생각하고 한번 상하좌우 말고 어디또 갈수 있는지 보고 방향추가하면 어렵지않게 풀림추가로 키보드 탐색범위가 넓지않아 시간초과도 고민하지 않아도 됨
프로그램 작업순서 어떻게 배열할 것인지?끝나는 순서대로 ⇒ 유사문제 : 회의실 배정 ⇒ 왜 먼저끝나는 순서인지? 추후 정리필요 ⇒ 2차원 배열필요한지 아닌지? 추후 정리필요 최대지각도 계산을 어떻게 효율화 할것인가i번째를 최우선 처리 대상으로 할때 1~i-1,
https://www.acmicpc.net/problem/19593어느시점에서 루프를 끝내야 하는지모든 섬이 연결되었을때또는 더이상 돌아도 모든섬을 연결할 수 없을때 ⇒ 어떻게 판단?E i = (E i-1 \* A + B) % N^2 ⇒ 점화식이며 모듈러
CMake란 CMake 는 빌드 파일을 생성해주는 프로그램. 다시 말해 CMake 를 통해서 프로젝트를 빌드를 하는 것이 아니라, CMake 를 통해서 빌드 파일을 생성하면 빌드 프로그램을 통해서 프로젝트를 빌드 하는 것. CMake 를 사용하는 모든 프로젝트에는 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