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Destructuring Assignment (구조분해할당)

어니언·2023년 1월 13일
0

자바스크립트에서 많이 쓰이는 문법중 하나가 구조분해할당이다.
간단히, 구조분해할당 문법은 객체 네부의 프로퍼티 값을 간편하게 분해하여 변수에 저장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어,
`const obj = {
name : "짱구",
age : 18,
memo : "안녕하세요
} 라는 객체가 있는데

구조분해할당을 적용하지 않은경우
const name = obj.name;
const age = obj.age;
const memo = obj.memo;
이렇게 직접 대입을 시켜주어야 하지만
구조분해할당을 이용하면
const {name, age, memo} = obj; 이렇게만 작성을 하여도
console.log(name) //"짱구"
console.log(age) //18
console.log(memo) //"안녕하세요"
이런결과값이 나온다.`
객체와 배열에서 구조분해할당이 모두 이용 가능 한기술이긴 하지만 실행하는 방법에서 큰차이점이 있다.

객체구조분해할당의 경우에는 순서와 상관없이 반드시 변수명이 동일해야 오류가 생기지 않고 작성한 그대로 실행이된다. 만에하나 여러 key값들중 오타가 중간에 있을 경우 순서가 뒤죽박죽 섞일 위험이 있다.
이와 반대로, 배열구조분해할당의 경우에는 변수명은 변경되어도 문제가 생기지 않지만, 요소의 순서가 맞지 않으면 여러가지 값들이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때문에 항상 주의하며 사용해야 한다.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