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GET 방식 vs POST 방식

bien·2023년 4월 13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1/3

GET 요청방식의 특성

  1. 전달되는 질의 문자열이 요청정보 헤더의 URI에 추가되어 전달돼요.
  2. 전달되는 질의 문자열의 내용이 외부에 노출돼요.
  3. 전달되는 질의 문자열의 길이가 제한적이에요.
  4. 전달되는 질의 문자열의 문자열의 인코딩/디코딩 작업이 필요없어서 처리속도가 빨라요.
  5. 전달되는 질의 문자열을 직접 URI에 추가할 수 있어요.

POST 요청 방식의 특성

  1. 전달되는 질의 문자열이 요청정보의 몸체에 포함되어 전달돼요.
  2. 전달되는 질의 문자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요.
  3. 전달되는 질의 문자열의 길이에 제한이 없어요.
  4. <from> 태그를 사용해야만 요청할 수 있어요.

목적에 맞는 사용

GET방식: 서버의 데이터를 단순히 가져오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함
(ex. 글 읽기(조회))
POST방식: 서버의 데이터 값 수정이나 상태변화를 일으키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함
(ex. 게시판 글 작성, 수정, 삭제)

+) 새 글을 쓰는 작업 = PUT, 기존 글을 수정 = POST, 글을 삭제 =DELETE.


출처) Servlet & JSP 웹 프로그래밍 - 오정임

profile
Good Luck!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