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공식문서를 기반으로 자습서(tutorial) 파트를 공부/발표하는 스터디를 진행하기로 했다.컴퓨터를 이용해 어떠한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해서 우리에게 몇 가지 선택지가 있다. 예를 들어, Unix shell script나 Windows batch file, 그리고
파이썬은 객체가 중심이 되며, 참조 변수를 통해 객체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이라고 선언이 되면, 100이라는 객체를 a가 참조하는 것이다. 이 때, a는 참조 변수라고 불린다. 만약이라고 선언을 하면 200이라는 객체가 추가적으로 더 생기고, a는 이번엔 10
load_dotenv로 튜플 자료형을 불러올 때의 문제aws opensearch 클라이언트를 생성하는 간단한 함수를 생성한 뒤, 도메인에 대한 정보와 계정 정보를 전달하는 코드를 작성하였다. 간단한 함수였기에, 쉽게 연결될 줄 알았지만, 계속해서 opensearchpy
logging을 알아본 이유 자동화 툴이나 api를 개발하다보면 내가 짠 코드가 잘 돌아가고 있는지, 어디서 문제인지 알고 싶어질 때가 있다. 파이썬을 처음 배웠을 때부터 최근까지 대부분 vsc의 디버그 모드로 하나씩 뜯어보거나 의심가는 부분에 print를 붙여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