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작은 따옴표와 큰 따옴표는 상황에 맞게 사용하면 됨
html은 작은 따옴표로 감싸는 것이 편하고 영어 문장일 경우에는 큰 따옴표가 편함
- 백틱은 달러($)와 중괄호({})를 통해 변수를 표현하거나 표현식을 쓸 수 있음
그 외에도 백틱으로 감싼 문자열의 줄바꿈은 그대로 반영됨
let str = '파란 하늘 파란 하늘 꿈이\n드리운 푸른 언덕에\n아기 염소 여럿이 풀을 뜯고 놀아요\n해처럼 밝은 얼굴로';
let str = `파란 하늘 파란 하늘 꿈이
드리운 푸른 언덕에
아기 염소 여럿이 풀을 뜯고 놀아요
해처럼 밝은 얼굴로`;
str.length
let str = '아기 염소';
console.log(str.length);
str[0]
- 배열과 동일하게 대괄호와 숫자로 특정 위치에 접근, 0부터 시작
- 배열과 달리 가져온 한 글자만 바꾸는 건 허용하지 않음
let str = '아기 염소';
console.log(str[1]);
str[1] = '나';
console.log(str);
toUpperCase() / toLowerCase()
- 영어인 경우 toUpperCase와 toLowerCase로 대소문자 변경 가능
- toUpperCase()
모든 영문을 대문자로 반환
- toLowerCase()
모든 영문을 소문자로 반환
str.indexOf(text)
- 문자를 인수로 받아 몇번째에 위치하는지 반환
- 0부터 셈
- 찾는 문자가 없는 경우 -1 반환
- 인수인 문자가 포함된 곳이 여러 곳이더라도 첫번째 위치만 반환
let str = `파란 하늘 파란 하늘 꿈이
드리운 푸른 언덕에
아기 염소 여럿이 풀을 뜯고 놀아요
해처럼 밝은 얼굴로`;
console.log(str.indexOf('귤'));
console.log(str.indexOf('파란'));
console.log(str.indexOf('염소'));
let str = `파란 하늘 파란 하늘 꿈이
드리운 푸른 언덕에
아기 염소 여럿이 풀을 뜯고 놀아요
해처럼 밝은 얼굴로`;
if(str.indexOf('파란')){console.log('파란이 포함된 문장입니다');}
str.slice(n, m)
- 특정 범위(n부터 m까지)의 문자를 반환
- m이 없으면 문자열 끝까지
양수면 그 숫자까지(해당 숫자는 포함 X)
음수면 끝에서부터 셈
let str = '해처럼 밝은 얼굴로';
console.log(str.slice(2));
console.log(str.slice(0, 5));
console.log(str.slice(2, -4));
str.substring(n, m)
- n과 m 사이의 문자열 반환
- n과 m을 바꿔도 동작, n과 m 사이
- 음수는 0으로 인식
let str = '해처럼 밝은 얼굴로';
console.log(str.substring(2, 5));
console.log(str.substring(5, 2));
str.substr(n, m)
let str = '해처럼 밝은 얼굴로';
console.log(str.substr(2, 6));
console.log(str.substr(-6, 2));
str.trim()
let str = ' 파란 하늘 ';
console.log(str.trim());
str.repeat(n)
let str = '파란 하늘';
console.log(str.repeat(3));
문자열 비교
1 < 3
"a" < "c"
- 아스키 코드표 참고
- 아스키 코드(십진법)는 "문자".codePointAt(0)으로 구할 수 있음
- String.fromCodePoint(아스키코드)를 통해 코드를 가지고 문자열을 구할 수 있음
- 외울 필요는 없음
.split()
.join()
.reverse()
[...St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