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가 가진 능력을 가장 잘 이용하기 위한 모범사례라고 볼 수 있다.
API설계는 서버개발자에게 달려있는데, REST API는 API의 대표적인 아키텍쳐.
/를 붙이고 path 를 입력하는데 ->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키 역할을 한다.https://api.github.con/beablessing 에서 beablessing이 path.GET / {key} / messages key가 작성한 모든 메세지 조회/{Key} / messages ?roomname=로비[
{
"id":1,
"username":"김코딩"
}
]
POST / {key} / messages 메세지가 24시간 마다 자동 리셋json mime타입: application/json[
{
"id": 5
}
]
POST /{githubID}/clear{
"message":"message initialized!"
}
URI 정보의 자원을 표현합니다. / 자원에 대한 상태 정의는 http메소드로 표현하게 된다.
왜인지 처음 포스트맨을 가입했을 때는 블라우저에서는 제대로 get요청이 먹히지 않아서
postman앱을 다운받아 사용하였다. (우분투 사용자) 그런데 이번에 다시 사용해보니 브라우저 역시 제대로 돌아갔다. 사용법에 문제가 있었던건가 싶기도 하다.
http api 테스트를 할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쉬운 GUI_postman을 사용해 보았다.
포스트의 경우 요청본문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아래 body 체크 -> raw체크 -> json체크 후,
(json형식으로 보낼때는 raw를 선택한다)
요청본문을 json형태로 작성해준다.
응답부분 우측상단에 status 400bad req등 응답코드가 표시된다.
post가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면
응답바디에 json 형식으로 id값을 받고,status 도 잘받아오게 된다. (cre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