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Command - Summary

김재환·2023년 10월 23일
0

UNIX

목록 보기
6/9

man

rm 명령어의 매뉴얼을 확인한다.

man 다음에 찾고 싶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rm --help

간단한 사용법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 명령어의 --help 옵션을 사용해도 된다.

리눅스 man 매뉴얼 사용법
q키 - 나가기 (quit)

h키 - man 사용법 확인 (help)

위, 아래 화살표키, 엔터키 - 한줄씩 넘기기

Page Up, Page Down, 스페이스바 - 한 페이지씩 넘기기

pwd (print working directory)

사용법:

pwd

예:

pwd

현재 디렉토리 (working directory)의 경로를 출력합니다.

cd (change directory)

사용법:

cd [PATH]

예:

cd dir1

PATH 경로에 해당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아무 아규먼트 없이 cd를 하면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을 사용하면 이전 경로로 돌아갑니다.

cd path/to/foo    (foo 디렉토리로 이동)
cd path/to/bar    (bar 디렉토리로 이동)
cd -              (다시 foo 디렉토리로 이동)

ls (list)

사용법:

ls [-al] [PATH]

예:

ls -al dir1

PATH에 해당하는 디렉토리 / 파일 정보를 보여줍니다.
PATH 아규먼트를 안 주면 현재 디렉토리 정보를 보여줍니다.

a 옵션: 숨겨진 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을 보여줍니다.

l 옵션: long format을 사용해서 더 자세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a, l 외에도 많은 옵션이 있습니다. man ls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mkdir (make directory)

사용법:

mkdir PATH1 PATH2 ...

예:

mkdir dir2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여러 경로를 한꺼번에 줘서 여러 디렉토리를 한꺼번에 만들 수도 있습니다.

-p 옵션을 주면 존재하지 않는 하위 디렉토리도 같이 만들수 있어요

mkdir -p dir2/dir3/dir4

touch (touch file)

사용법:

touch PATH1 PATH2 ...

예:

touch file1.txt

경로에 해당하는 파일을 생성합니다. (원래는 파일의 마지막 접근 시간 / 수정 시간을 업데이트하는데 쓰이지만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 생성하기 때문에 파일 생성 용도로도 쓰입니다.)

vim

사용법:

vim [PATH]

예:

vim file1.txt

vim 텍스트 에디터를 실행합니다. 이 레슨을 참고하세요.

cat (concatenate)

사용법:

cat PATH1 PATH2 ...

예:

cat file1.txt

경로에 해당하는 파일들의 내용을 출력합니다. 파일이 여러 개인 경우 내용을 모두 붙여서 출력합니다.

less

사용법:

less PATH

예:

less file1.txt

PATH에 해당하는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나눠서 보여줍니다.

단축키:

줄 이동: 위쪽 / 아래쪽 방향키
다음 페이지: space 아니면 f
이전 페이지: b
마지막 페이지: G
처음 페이지: g

사용법:

head [-n count] PATH

예:

head -n 5 file1.txt

PATH에 해당하는 파일의 처음 10줄을 출력합니다.

n 옵션: 출력되는 줄 개수를 바꿉니다.

tail

사용법:

tail [-n count] PATH

예:

tail -n 5 file1.txt

PATH에 해당하는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출력합니다.

n 옵션: 출력되는 줄 개수를 바꿉니다.

mv (move)

사용법:

mv [-i] SOURCE_PATH DEST_PATH

예:

mv -i file1.txt file2.txt
mv -i file1.txt dir1

디렉토리/파일을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합니다. 두 번째 아규먼트(DEST_PATH) 가 이미 존재하는 디렉토리의 경로일 경우 SOURCE_PATH에 해당하는 디렉토리/파일을 그 안으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DEST_PATH로 이름 변경합니다.

i 옵션: 이동/이름 변경을 할 때 똑같은 이름의 디렉토리/파일이 있으면 덮어씌워집니다. 확인을 하면서 mv를 하려면 i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cp (copy)

사용법:

cp [-ri] SOURCE_PATH DEST_PATH

예:

cp -i file1.txt file2.txt
cp -ri dir1 dir2

디렉토리/파일을 복사합니다. 두 번째 아규먼트(DEST_PATH) 가 이미 존재하는 디렉토리의 경로일 경우 SOURCE_PATH에 해당하는 디렉토리/파일을 그 안으로 복사하고, 그렇지 않으면 DEST_PATH라는 이름으로 복사합니다.

r 옵션: 디렉토리를 복사할 때는 꼭 r 옵션을 써야 합니다.

i 옵션: 복사할 때 똑같은 이름의 파일이 있으면 덮어씌워집니다. 확인을 하면서 cp를 하려면 i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rm (remove)

사용법:

rm [-rif] PATH1 PATH2 ...

예:

rm file1.txt file2.txt
rm -rf dir1

경로에 해당하는 파일/디렉토리들을 지워줍니다.

r 옵션: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는 꼭 r 옵션을 써야 합니다.

i 옵션: 복사할 때 각 파일을 정말 지울 것인지 물어봅니다.

f 옵션: 지울 것인지 절대 확인하지 않고 바로 지웁니다.

-a -l 명령어

-a 옵션(ALL) 숨겨진 파일니ㅏ 디렉토리 보여줌
-l 옵션(Long) 자세한 내용을 출력한다 퍼미션, 포함된 파일수, 소유자, 그룹, 파일크기, 수정날짜,이름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