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프론트엔드 개발을 공부하는 대학생입니다: 전자전기공학을 전공하고 있습니다.

5월2일의 감사

매일 감사와 긍정에 관하여 짧은 글을 쓰려고 한다. 오늘 아침에 조금 피곤할때 마신 커피가 너무 맛있었다. 운동 후 집으로 가는 저녁 길이 너무 상쾌했다. 저녁에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었다. 모든 것에 감사하며, 내일이 찾아오는 세상에게 감사한다.

2023년 5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독서록: 회복탄력성(resilience) - 김주환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회복탄력성은 자신에게 닥치는 온갖 역경과 어려움을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 힘이다. 성공은 역경과 시련을 극복해낸 상태를 말한다. 떨어져본 사람만이 어디로 올라가야 하는지 그 방향을 알고,바닥을 쳐본 사람만이 더욱 높게 날아오를 힘을 갖게 된다

2023년 5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전류와 저항

해당 책을 읽고 요약 중입니다. 중성자에 미시 세계에서 -성질을 띈 전자가 외부에서 오면 -성질을 띈 음전하, 중성자의 전자가 마찰 , 온도 등 빠져나간다면 + 성질을 띈 양전하가 된다. 우리는 보통 전기가 + -> - 로 이동한다고 생각하지만, 전자와 전류의 방향은

2023년 4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전압에 관하여

해당 책을 읽고 기록, 요약 중입니다.전기가 흘러가는 힘을 이해하려면 전압에 대해 알아야 한다. 전압이 크면 전류를 많이 흘릴 수 있다. 전기를 보통 물에 비유한다. 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을 멀리까지 보낼 힘이 필요한데, 이를 수압이라고 한다. 수압이 높을 수록 물

2023년 4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CSS로 큐브를 만들어보자!

자기소개서 겸 블로그를 만들려는중 html / css로 큐브를 만들어 보기로 했다. 큐브를 만들면서 나온 css도 다시 정리해보자! class별 역할 설명하겠다! wrapper - 전체를 쌈 perspective - 원근감 줄거임cube - 돌릴때에 cube 자체를

2023년 4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 1차원 슈뢰딩거 방정식 (자유전자)

3차원인 슈뢰딩거 방정식은 손으로 풀기에 복잡하다.몇 가지 가정을 고려해서 간략하게 만들도록 한다. 위치에너지가 시간에 무관하다고 가정하고 문제를 풀어보자. 파동함수 프사이는 위치와 시간을 분리한다. 좌변은 위치에 대한 미분방정식 우측은 시간에 대한 미분방정식 으로 나

2023년 4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 불확정성의 원라, 슈뢰딩거 방정식

전자가 파동처럼 해석될 수 있다면, 위치는 어떻게 정의할까요. 운동량이 고정되어있을때 전자의 위치는 위치가 고정되었다면 전자의 파장은? 위치가 고정되어있다면 전자의 운동량을 알 수 없고, 운동량이 고정되어있다면 전자의 위치를 알 수 없다. \-> 위치와 운동량은 동시에

2023년 4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 파동-입자의 이중성(드브로이)

빛의 성질 대표하는 질량 m 파동의 성질 대표하는 진폭,파장 ㅅ 양자역학에선 이를 서로 연관되어있다고 설명하는게 드브로이의 물질파이다. 어떤 입자의 운동량 p = mv 그 입자의 파장은 (플랑크상수)h/p(질량성질) 파동 - 입자성을 다 가지고 있다. 파동과 입자는 연

2023년 4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 광전효과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고전역학에서 빛은 입자이다 vs 빛은 파동이다 로 찬반이 나뉘어져있었다. 고전역학에서 광전효과가 제대로 설명되지 않았다. 빛이 입자라고 가정했을때 빛의 밝기는 photon의 갯수에 비례한다고 주장하게된다. E = h \* v(진동수) 빛의 에너지는 진동수에 비례한다고

2023년 4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 양자역학이 반도체 이해에 필요한 이유

원자 결정 내에서 전자의 움직임을 정확히 기술하려면 양자역학을 이해해서 전자의 움직임을 예측해야한다. 물리전자에 필요한 양자역학은 에너지의 양자화파동-입자의 이중성불확정성의 원리 ch2에서는 이렇게 3가지를 배우게 될 것이다.

2023년 4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4 반도체의 캐리어(electron,hole)

일상 생활에서 온도는 0K가 아니다 conduction electron : 그래서 열적 에너지때문에 공유결합을 깨고 탈출하는 전자를conduction electron 자유전자 라고 부른다. 자유전자는 실리콘 내부를 자유롭게 움직이고 자유롭게 움직여서 전류를 발생한다.

2023년 4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회로이론} 테브난 , 노턴 등가회로

RL의 전압을 알려면 RL에 걸린 전류를 알아야한다. 전원 변환으로 12V / 3옴 하나의 전류원과 저항이 병렬연결된 구조로 바꿀 수 있다. 병렬연결된 저항을 합치고최종적으로 이런 모습을 만들 수 있다. 등가 회로란, 부하저항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런 회로를 기계

2023년 4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3 Diamond structure(실리콘의 원자구조)

실리콘 물질의 unit cell은 Diamond structure 라고 부른다. 가운데 실리콘의 원자 하나. 사진의 오른쪽 처럼 위에 2개 아래 2개가 합쳐져서 Diamond structure가 된다. 💡실리콘의 volume density 는 5 \* 10 ^22 가

2023년 3월 31일
·
0개의 댓글
·

#02 고체의 결정구조

용어의 정의 결정구조를 정의하기 위한 용어들 unit cell - 단위 셀 , 유닛셀을 반복하였을때 전체의 원자 구조가 표현될 수 있으면 그 단위체를 유닛셀이라 한다. basis vector - A라는 unit cell에서 a2와 b2로 A를 표현할 수 있다. 이때

2023년 3월 3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1 crystal structure of solid

crystal structure of solid #반도체의 정의 #실리콘 #화합물반도체 #단결정,다결정,비정질 #wafer Semiconductor 반도체 - 도체에 준하는 , 도체이지만 애매한 상태의 도체를 의미한다. conductivity에 따라 물질을

2023년 3월 31일
·
0개의 댓글
·

#00 물리전자를 들어가며

주기적인 원자의 결정구조를 가지는 고체 물질에 대해서전자가 어떤식으로 흘러가는지를 물리적으로 해걱하고 수학적인 모델을 만들어서 전자의 흐름 즉 전류의 흐름을 예측하는 것이 물리전자. 결정구조 -> 양자역학 ->반도체 내에 에너지밴드 -> 전자의 이동 전자의 이동을 설명

2023년 3월 31일
·
0개의 댓글
·

express 란? (express설치하기,nodemon)

🤖⚙️Express.js는 Node.js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개발자가 더 쉽고 빠르게 웹 애플리케이션과 API를 만들도록 도와줍니다.Express는 프레임워크이므로 없어도 Nodejs의 http 내장 모듈을 사용하여 웹서버를 띄울 수 있다. 즉 n

2023년 3월 30일
·
0개의 댓글
·

서버, Node.js

서버 : 요청을 받으면 요청한 내용을 보내주는 프로그램 요청 : http 요청 1\. 읽기 (GET) - 이런 페이지 읽고싶음 2\. 쓰기 (POST) - 댓글 작성 블로그 포스트 작성 3\. 수정 (PUT) - 뭔가 수정할 때 4\. 삭제 (D

2023년 3월 3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포트포워딩에 관해서

팀 스터디 겸 프로젝트에서 공유기 웹서버 만드는 과제가 있었다. 포트포워딩을 왜 하는지, 포트포워딩이 무엇인지에 관해 알아가보자 한다. ⚡︎아이피 아이피란? > IP 주소는 Internet Protocol Address 의 약자로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

2023년 3월 30일
·
0개의 댓글
·

npm 설치중에 에러가 났다!! (package.json)

sudo npm install —save three 를 통해 다운을 하려 하는데 파일이 뜨지 않는다node init 을 통해 package.json 을 생성해야 한다고 한다. (리액트에선 자동으로 만들어줘서 몰랐음)☀︎package.json이란 package.json

2023년 3월 23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