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actional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는, 프록시 객체를 통해서 메서드를 호출한 것이 아니라 실제 객체를 통해 호출했는지 의심 해보자.
민감한 정보(유출되면 안 되는 비밀번호 등)를 Github에 올리게 되면 피똥을 쌀 수도 있으므로, 이를 암호화 해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행위마다 목적에 맞는 DTO를 만들자. 다른 행위에 같은 DTO를 사용하는 것을 경계하라.
jackson 라이브러리가 어떻게 model을 생성해줘야하는지 몰라서 생기는 문제이다.model 클래스에 빈 생성자 를 추가해주면 문제는 해결된다. (별도의 setter또한 필요없다)출처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3191
접근 제어자는 '인스턴스 레벨'에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클래스 레벨' 에서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