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헤더
http요청 시 : http header, body를 요청하고 응받으로 받는다.
예를들어 https://www.naver.com/ 을 요청할 때 받는 리소스 중 하나인 count.nhn을 보면
resopnse 탭에 잇는 컨텐츠를 body, header에 있는 컨텐츠를 header라 하는데,
바디는 본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서버에서 보내고자 하는 컨텐츠 본문인 JSON, html, image등이 담긴다.
헤더는 바디를 설명하는 정보를 포함한 여러 정보가 담긴 정보의 묶음이다.
헤더는 콜론 ':'으로 구분되는 key - value 형태로 설정된다.
HTTP 요청을 할 때 3가지의 헤더인 일반헤더, 요청헤더, 응답헤더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서버에서 설정하는 헤더 : 응답헤더
클라이언트에서 설정한 헤더 : 요청헤더
요청한 URL, 요청메서드, 해당 자원을 요청할 때 해당자원의 출처를 나타내는 URL을 노출시킬지 말지를 정하는 보안정도가 설정되어있는 Referrer Policy 등이 담긴다.
요청헤더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할 때 클라이언트가 설정하는 또는 자동으로 설정되는 헤더이다. 메서드, 클라이언트의 OS, 브라우저 정보 등이 담긴다.
응답헤더
응답헤더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낼 때 설정하는 또는 자동으로 설정되는 헤더를 말한다.
응답헤더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보 등이 담긴다.
대부분의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버 정보를 숨긴다.
(해커가 서버에서 어떤 소프트웨어가 사용되는지 알기 어렵게 하기 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