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상태코드

배기호 Notebook·2023년 7월 24일
0

CS공부

목록 보기
18/35

HTTP 상태코드(status code)

1xx(정보)

서버가 요청을 잘 받았으며 해당 프로세스를 계속 이어가며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 100 ; continue : 요청의 시작 부분 일부가 받아들여졌으며, 클라이언트는 나머지를 계속 이어 보내야 함을 의미

2xx(성공)

서버가 요청을 잘 받았고 이를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성공적으로 데이터를 보낸것을 의미

  • 200, OK : 요청이 성공적으로 됨
  • 201, Created : 요청이 성공적이었으며, 그 결과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 됨

3xx(리다이렉션)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함

  • 301, Moved Permanently : 요청한 리소스의 URI가 변경되었음을 의미. 변경된 새로운 URI 상태코드와 함께 주어야 한다.

4xx(클라이언트 오류)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없거나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잘못되어 결과적으로 요청을 처리할 수 없다.

  • 400, Bad Request : 서버가 클라이언트 요청을 이해할 수 없음
  • 401, Unauthorized : 클라이언트의 인증이 되지 않음
  • 402, Not Found : 요청받은 컨텐츠를 찾을 수 없음
  • 404, Stack Overflow

5xx(서버 오류)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지 못하는 상태

  • 500, Internal Server Error : 서버에 오류가 있음을 의미함.
  • 502, Bad Gateway : 게이트웨이 또는 프록시서버가 오류가 생겼음을 의미함
  • 504, Gateway Timeout : 게이트웨이 또는 프록시서버가 정해진 Timeout 시간동안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지 못함을 의미함

참고
인프런 강의 _ 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대시보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