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레코드 & CNAME 레코드 알고 쓰자

neunghi·2025년 3월 15일
0

NETWORK

목록 보기
5/6
post-thumbnail

A 레코드랑 CNAME 레코드는 DNS(Domain Name System)에서 도메인과 서버를 연결하는 방식이다.

✅ A 레코드 (Address Record)

  • 도메인을 특정 IPv4 주소와 연결하는 레코드야.
  • 예를 들어, example.com을 특정 서버의 IP 주소 192.168.1.1에 연결할 때 사용해.
  • IPv6를 쓰려면 A 레코드 대신 AAAA 레코드를 사용해야 해.
example.com → 192.168.1.1

👉 example.com에 접속하면 192.168.1.1로 요청이 전달됨.

✅ CNAME 레코드 (Canonical Name Record)

  •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으로 연결하는 레코드야.
  • 직접 IP 주소를 지정하는 게 아니라, 다른 도메인(A 레코드가 있는 도메인)을 가리킴.
  • 보통 서브도메인(www, api 등) 설정할 때 많이 써.
www.example.com → example.com

👉 www.example.com에 접속하면 example.com으로 자동 연결됨.
👉 example.com이 A 레코드(192.168.1.1로 연결)를 가지고 있다면, 결국 www.example.com도 같은 IP를 가리킴.

🎯 A 레코드 vs CNAME 레코드 차이점

💡 언제 A 레코드 vs CNAME을 써야 할까?

✅ A 레코드
• 내 서버의 IP 주소를 직접 지정할 때
• 메인 도메인 (example.com)을 설정할 때

✅ CNAME 레코드
• 서브도메인 (www.example.com, api.example.com)을 설정할 때
• 클라우드 서비스(예: AWS, Cloudflare)처럼 IP가 자주 바뀌는 경우

profile
나는 능히 할 수 있는 버섯이다!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