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내가 DB를 이용해 회원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웹서버를 배포한다고 들었을때 개인적으로 DB를 구축하기위해 컴퓨터를 배치하고 인터넷을 연결하는등 부가적인 요소가 들어간다.
흔히 회사 혹은 군대에서 아래의 사진과 같은 장소를 본적이 있을것이다.
똑같은 모습은 아니더라도 이런식으로 기업 혹은 단체에서 직접 유지 관리하는 프라이빗 데이터 센터의 모습이다.
이를 온프레스미로 불리며 클라우딩 컴퓨터가 보급되기전에는 기업,회사에서 직접 물리적으로 전산실과 서버실을 운영하는 방식을 말한다.
하지만 개인이 서버를 배포하기 위해서 위와 같은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기에는 천문학적 금액이 들어간다. 이를 위해서 나온것이 바로 클라우딩 컴퓨터 시스템이다.
흔히 애플 유저가 사용하는 i-Cloud를 들어본적 있을것이다. 내 휴대폰, 컴퓨터의 데이터를 웹의 DB에 저장하여 새로운기기를 사더라도 별도의 프로그램의 설치나 이미지파일을 옮길필요 없이 웹에 저장된 DB에서 데이터를 받아와 이전의 쓰던 데이터를 그대로 이어서 쓸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런식을 개인이 가상의 컴퓨터를 사용해 서버 혹은 DB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 클라우딩 시스템이다.
<출처 - 해시넷>
RDS는 Relational DataBase Service의 약자로 AWS가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입니다.
TIP)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키(key)와 값(value)들의 간단한 관계를 테이블화 시킨 매우 간단한 원칙의 전산정보 데이터베이스이다.
Column(속성)과 Row(튜플,레코드)로 구분되며 이를 이용해 테이블을 구성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이룬다.
우린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중 Amazon에서 운영중인 AWS클라우드의 RDS를 이용하여 가상 DB를 만들어 보겠다.
RDS 장점
1. CPU와 메모리,스토리지 등 독립적으로 확장 할 수 있어서 CPU,스토리지 등을 자신의 사용 환경에 맞춰 할당 할 수 있다.
2. 데이터베이스 관리 업무를 AWS측에서 대신해준다.(백업,자동화 등)
3. 회사 내 데이터베이스 관리 역량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
4. 흔히 사용하는 MySQL,PostareSQL,Oracle 등 Microsoft SQL Server 같은 데이터베이스 제품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5. 효율적인 Amazon RDS 복원 프로세스로 데이터 복원이 안정적이다.
위 RDS를 이용하면 우리는 local에서 DB를 구축하지 않아도 가상의 클라우딩 컴퓨터의 서버를 이용해서 DB를 구축할 수 있다.
1. AWS가입 후 RDS 생성하기
1.1 초기 설정(1)
1.2 초기 설정(2)
1.3 초기 설정(3)
1.4 초기 설정(4)
1.5 초기 설정(5)
1.6 초기 DB 생성
1.7 데이터베이스 생성 완료
1.8 생성 완료시) 엔드포인트 및 포트 확인
2. Mysql로 RDS 진입
2.1 mysql을 통해 RDS 진입
- 'mysql -u [마스터 이름] --host [엔드포인트 주소] -P ****(포트번호) -p'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 비밀번호는 초기설정(4)에 설정한 Password를 입력하면 된다.
2.2 데이터 베이스 확인(1)
2.3 데이터 베이스 확인(2)
느낀점
- AWS는 여러 회사에서도 사용중인 클라우딩 컴퓨터 시스템으로 좀 더 깊이 공부 하고 싶어졌다.
- DocumentDB(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도 사용방법을 터득해볼 예정이다.
- DB는 뿐아니라 서버도 클라우드 서비스로 배포하는 법을 습득해야겠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