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Supply Chain Manag(SCM)?

backeung·2022년 1월 13일
0

SCM

목록 보기
1/2

출처: [IQMS]What is Supply Chain Management(SCM)?

SCM Definition

<정의1>

  • (What?)전체 공급망(supply chain)의 여러 활동들을 디자인, 플래닝, 실행, 관리, 모니터링하는 것
  • (Why?)순가치(net value) 창출, 경쟁력 있는 인프라 구축, 전 세계 물류 활용, 수요와 공급을 동기화하고 전 세계적으로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the design, planning, execution, control, and monitoring of supply chain activities with the objective of creating net value, building a competitive infrastructure, leveraging worldwide logistics, synchronizing supply with demand, and measuring performance globally."
    **결론: 무리한 요구의 정의이다

<정의2>

  • 계획에서 판매 후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회사의 사업(비즈니스)의 모든 측면을 포괄
  • 모든 제품 및 자재 관련 결정 또는 재무 및 시장 영향을 이해하고 최적화해야함
    -> "You are the heart and soul of the place"

SC Planning and SC Execution

SCM은 크게 2가지 영역으로 나눠짐
1. SC Planning:

  • 판촉 활동, 재고 보충 정책 및 생산 보충 정책에 대한 정책 및 절차 설정에 중점을 둠
  • 기본적으로 공급망에 대한 매개변수를 정의함
  1. SC Execution:
  • 재화와 자재의 공급을 효과적으로 조달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활동을 포함
  • 여기에는 제조, 창고 보관, 물류 관리 및 운송이 포함됨

공급망 우수성의 핵심 결정 요인: 가시성(Visibility)

  • 모든 단계에 걸쳐 전체 공급망에 대한 "가시성" 은 공급 또는 수요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망 우수성의 핵심 결정 요인입니다.

1. SC Planning Activities

1) Forecasting: 예측

  • 예측은 판매-생산이 공유하는 공동 활동임(joint activity)
  • 그 자체로는 어느 예측도 정확하지 않거나 회사의 수익 목표를 충족하지 않아 공급망 계획의 다음 단계로 이어집니다
    • 판매: 일반적으로 시장의 진행 상황과 고객의 향후 계획에 대한 (친밀한) 지식을 기반으로 예측
    • 생산: 종종 과거 요구 사항과 비슷한(밀접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제품 이력을 기반으로 예측

2) Sales and Operations Planning (S&OP) : 판매 및 운영계획

  • 공통 계획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예측을 합리화하기 위한 부서 간 연습(cross-departmental exercise)
  • 이 프로세스 동안 용량(capacity) 제약 및 수익 요구 사항을 포함하여 예측의 모든 측gd면이 고려됨
  • 최소한 분기별로 반복되야 함
  • (how?) 오프라인 or ERP 시스템의 마스터 스케쥴링 프로그램 사용
    -> 최종 목표: 합의에 도달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가 아닌 합의를 달성하는 데 있음

2. SC Execution

  • 합의에 도달하면, SCM팀은 execute를 시작함

1) Procurement: 조달

  • 자재 또는 외부 제조 능력을 구매하기로 결정한 경우 조달 팀은 최상의 공급처를 소싱할 책임이 있음
  • 결정의 요소: 가격, 품질, 공급업체 납품 실적, 지불 조건, 공급업체 위치, 공급업체 응답성, 공급업체 평판 또는 이전 관계, 심지어 EDI 또는 포털을 사용하여 신속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공급업체의 능력과 의지

2) Warehousing: 창고

  • Warehousing: 제품과 원자재의 수령, 보관,
  • 공급망 관리에서 중요한 요소: 창고 및 창고의 수와 위치를 결정하는 것
  • 바코드, RFID 또는 기타 데이터 수집 기술을 사용하면 창고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 효과적인 창고는 고객 주문의 적시 납품 성능을 향상시키고 자재 지연으로 인한 생산 지연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

3) Logistics Management: 물류 관리

  • 물류관리: 회사 위치를 오가는 상품 및 자재 이동을 지시하는 과학(the science of directing the movement of goods and materials to and from company locations)
  • 물류: 다양한 상품 선적 요금, 다양한 운송업체의 경로, 화학 물질, 배터리 및 특정 자재에 대한 특수 포장 또는 취급 요구 사항을 이해해야 하는 복잡한 활동
    • 인바운드 물류(공급업체에서 오는 자재)
    • 아웃바운드 물류(고객 또는 유통업체로 배송되는 자재)
    • 역 물류(반품 관리)

Metrics

: 공급망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이루어진 다양한 매트릭스가 있음
ex) SC planning: forecast accuracy(예측 정확도) -> (b/c)정확한 예측일수록 팀이 계획을 더 잘 실행할 수 있음

  • 공급망 실행 지표는 지역 마다 다름
    ex1. 조달(Procurement): 종종 공급 납품 실적, 공급업체 품질 및 구매 가격 차이 또는 착륙 비용을 기준으로 측정
    ex2. Warehousing: 전체 및 정시 배송, 이월 주문 비율, 주기 수 정확도 및 자재 처리기 효율성이 포함
    ex3. 생산: 종종 처리량, 효율성, 활용도 또는 예정된 시간 완료 및 성능에 따라 측정
    ex4. 물류: 총 화물 비용, 프리미엄 화물 비용 및 정시 성과가 가장 일반적인 지표

Conclusion

  • 공급망 효율성: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
  • 효율성과 가시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공급망을 명확하게 조정하고 최적화하는 것은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빠른 방법
    ex1. Home Depot: '빅 박스' 소매 부문에서 최고의 공급망 중 하나
    ex2. Wal-Mart: 가격과 재고를 낮게 유지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글로벌 공급망을 핵심 차별화 요소로 만듦
profile
SV Creato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