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1>
"the design, planning, execution, control, and monitoring of supply chain activities with the objective of creating net value, building a competitive infrastructure, leveraging worldwide logistics, synchronizing supply with demand, and measuring performance globally."
**결론: 무리한 요구의 정의이다
<정의2>
SCM은 크게 2가지 영역으로 나눠짐
1. SC Planning:
공급망 우수성의 핵심 결정 요인: 가시성(Visibility)
- 모든 단계에 걸쳐 전체 공급망에 대한 "가시성" 은 공급 또는 수요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망 우수성의 핵심 결정 요인입니다.
- 판매: 일반적으로 시장의 진행 상황과 고객의 향후 계획에 대한 (친밀한) 지식을 기반으로 예측
- 생산: 종종 과거 요구 사항과 비슷한(밀접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제품 이력을 기반으로 예측
- 인바운드 물류(공급업체에서 오는 자재)
- 아웃바운드 물류(고객 또는 유통업체로 배송되는 자재)
- 역 물류(반품 관리)
: 공급망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이루어진 다양한 매트릭스가 있음
ex) SC planning: forecast accuracy(예측 정확도) -> (b/c)정확한 예측일수록 팀이 계획을 더 잘 실행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