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 spring (스프링은 퀵스타트로 했다. ) 까지 하다가 친구들이 깃허브에 node.js로 만든 프로젝트들이 있길래 관심이 생겨서 자바스크립트를 한번 제대로 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학교에서 웹프로그래밍 시간에 배우긴 했는데, 중간에 내용이 jquery쪽으
모던 자바스크립트 입문의 17장에는 생명 게임 시뮬레이터 예제가 있다. 이 예제에서 화면의 view에 나타낼 픽셀을 배열로써 생성하는 파트가 있다. 코드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nx와 ny의 초깃값은 특정 함수에 의해 78과 60으로 지정된다. 78은 가로 픽셀의 개수
최근에 모던 자바스크립트 입문이라는 책을 통해 자바스크립트를 공부 중인데, 17장에 보면 MVC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생명 게임 시뮬레이터를 실습하는 부분이 있다. 상당히 퀄리티 좋은 예제이고, 챕터 전체가 한 예제를 다루는 (입문으로 치면) 꽤 난이도 괜찮은 예제이다
로컬에 있는 텍스트파일의 내용을 읽어서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스크립트를 짰는데, 안타깝게도 firefox의 정책이 바뀐 듯하다. 분명 설명에는 firefox에서는 로컬의 파일을 읽어서 사용할 수 있다고 했는데, 해당 책이 좀 시간이 지나서인지는 모르겠는데, 동일출처정책에
예제를 따라서 작성하고 난 뒤에 실행을 시켰는데, 실행이 안될 때가 있다. 예제가 틀렸다기 보다는 오타가 발생했을 확률이 더 높다고 생각된다. 실제로도 그래왔다. 항상 내 오타가 문제였다. 예제파일과 나의 코드를 모두 하나하나 전부다 비교할 수는 없는 일이다. 예전에는
cancelable 값을 alert 로 찍어보는 예제이다. 그런데 해당 예제를 실행하는 와중에 이해가 안되는 동작이 존재했다. 우선 처음 실행했을 때 동작은 다음과 같다. 보다시피 alert 창으로 cancelable 프로퍼티의 값이 찍히게 된다. 내가 설정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