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고급) - 템플릿 메서드 패턴과 콜백 패턴

Kwon Yongho·2023년 5월 31일
0

Spring

목록 보기
21/37
post-thumbnail

템플릿 메서드 패턴과 콜백 패턴

  1. 템플릿 메서드 패턴
  2. 전략 패턴
  3. 템플릿 콜백 패턴

1. 템플릿 메서드 패턴

1-1. 시작

로그 추적기 도입 전과 후의 코드를 비교해보자.

OrderControllerV0 코드

    @GetMapping("/v0/request")
    public String request(String itemId) {
        orderService.orderItem(itemId);
        return "ok";
    }
    
    public void orderItem(String itemId) {
        orderRepository.save(itemId);
    }

OrderControllerV3 코드

    @GetMapping("/v3/request")
    public String request(String itemId) {
        TraceStatus status = null;
        try {
            status = trace.begin("OrderController.request()");
            orderService.orderItem(itemId); //핵심 기능
            trace.end(status);
        } catch (Exception e) {
            trace.exception(status, e);
            throw e;
        }
        return "ok";
    }
    public void orderItem(String itemId) {
        TraceStatus status = null;
        try {
            status = trace.begin("OrderService.orderItem()");
            orderRepository.save(itemId); //핵심 기능
            trace.end(status);
        } catch (Exception e) {
            trace.exception(status, e);
            throw e;
        }
    }

V0는 해당 메서드가 실제 처리해야 하는 핵심 기능만 깔끔하게 남아있다. 반면에 V3에는 핵심 기능보다 로그를 출력해야 하는 부가 기능 코드가 훨씬 더 많고 복잡하다.

핵심 기능 vs 부가 기능

  • 핵심 기능은 해당 객체가 제공하는 고유의 기능이다. 예를 들어서 orderService 의 핵심 기능은 주문 로직이다.
  • 메서드 단위로 보면 orderService.orderItem() 의 핵심 기능은 주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리포지토리를 호출하는 orderRepository.save(itemId) 코드가 핵심 기능이다.
  • 부가 기능은 핵심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제공되는 기능이다.
  • 예를 들어서 로그 추적 로직, 트랜잭션 기능이 있다. 이러한 부가 기능은 단독으로 사용되지는 않고, 핵심 기능과 함께 사용된다.
  • 예를 들어서 로그 추적 기능은 어떤 핵심 기능이 호출되었는지 로그를 남기기 위해 사용한다. 그러니까 핵심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존재한다.

V3 코드를 유심히 잘 살펴보면 동일한 패턴들이 있다.

        TraceStatus status = null;
        try {
            status = trace.begin("OrderController.request()");
            trace.end(status);
            return "ok";
        } catch (Exception e) {
            trace.exception(status, e);
            throw e;
        }
  • 부가 기능과 관련된 코드가 중복이니 중복을 별도의 메서드로 뽑아내면 될 것 같다. 그런데, try ~ catch는 물론이고, 핵심 기능 부분이 중간에 있어서 단순하게 메서드로 추출하는 것은 어렵다.
  • 템플릿 메서드 패턴(Template Method Pattern)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1-2. 예제1

간단한 예제를 통해서 알아보자.

TemplateMethodTest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template;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Slf4j
public class TemplateMethodTest {

    @Test
    void templateMethodV0() {
        logic1();
        logic2();
    }

    private void logic1() {
        long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비즈니스 로직 실행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비즈니스 로직 종료
        long end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long resultTime = endTime - startTime;
        log.info("resultTime={}", resultTime);
    }

    private void logic2() {
        long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비즈니스 로직 실행
        log.info("비즈니스 로직2 실행");
        //비즈니스 로직 종료
        long end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long resultTime = endTime - startTime;
        log.info("resultTime={}", resultTime);
    }
}

logic1()logic2()는 시간을 측정하는 부분과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는 부분이 함께 존재한다.

  • 변하는 부분: 비즈니스 로직
  • 변하지 않는 부분: 시간 측정

이제 템플릿 메서드 패턴을 사용해서 변하는 부분과 변하지 않는 부분을 분리해보자.

1-3. 예제2

템플릿 메서드 패턴 구조 그림

AbstractTemplate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template.code;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Slf4j
public abstract class AbstractTemplate {

    public void execute() {
        long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비즈니스 로직 실행
        call(); //상속
        //비즈니스 로직 종료
        long end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long resultTime = endTime - startTime;
        log.info("resultTime={}", resultTime);
    }

    protected abstract void call();
}
  • 템플릿 메서드 패턴은 이름 그대로 템플릿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 템플릿이라는 틀에 변하지 않는 부분을 몰아둔다. 그리고 일부 변하는 부분을 별도로 호출해서 해결한다.
  • 템플릿 메서드 패턴은 부모 클래스에 변하지 않는 템플릿 코드를 둔다. 그리고 변하는 부분은 자식 클래스에 두고 상속과 오버라이딩을 사용해서 처리한다.

SubClassLogic1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template.code;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Slf4j
public class SubClassLogic1 extends AbstractTemplate {
    @Override
    protected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
}

SubClassLogic2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template.code;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Slf4j
public class SubClassLogic2 extends AbstractTemplate {
    @Override
    protected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2 실행");
    }
}

TemplateMethodTest - templateMethodV1() 추가

    @Test
    void templateMethodV1(){
        AbstractTemplate template1 = new SubClassLogic1();
        template1.execute();

        AbstractTemplate template2 = new SubClassLogic2();
        template2.execute();
    }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

템플릿 메서드 패턴 인스턴스 호출 그림

  • template1.execute()를 호출하면 템플릿 로직인 AbstractTemplate.execute()를 실행한다.
  • 여기서 중간에 call()메서드를 호출하는데, 이 부분이 오버라이딩 되어있다.
  • 따라서 현재 인스턴스인 SubClassLogic1인스턴스의 SubClassLogic1.call()메서드가 호출된다.

1-4. 예제3

익명 내부 클래스 사용하기

  • 템플릿 메서드 패턴은 SubClassLogic1, SubClassLogic2처럼 클래스를 계속 만들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익명 내부 클래스를 사용하면 이런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 이 클래스는 SubClassLogic1처럼 직접 지정하는 이름이 없고 클래스 내부에 선언되는 클래스여서 익명 내부 클래스라 한다.

TemplateMethodTest - templateMethodV2() 추가

    @Test
    void templateMethodV2() {
        AbstractTemplate template1 = new AbstractTemplate() {
            @Override
            protected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
        };
        
        log.info("클래스 이름1={}", template1.getClass());
        template1.execute();
        
        AbstractTemplate template2 = new AbstractTemplate() {
            @Override
            protected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
        };
        log.info("클래스 이름2={}", template2.getClass());
        template2.execute();
    }


실행 결과를 보면 자바가 임의로 만들어주는 익명 내부 클래스 이름은 TemplateMethodTest$1, TemplateMethodTest$2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5. 적용1

이제 우리가 만든 애플리케이션의 로그 추적기 로직에 템플릿 메서드 패턴을 적용해보자.

AbstractTemplate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template;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TraceStatus;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logtrace.LogTrace;

public abstract class AbstractTemplate<T> {

    private final LogTrace trace;

    public AbstractTemplate(LogTrace trace){
        this.trace = trace;
    }

    public T execute(String message) {
        TraceStatus status = null;
        try {
            status = trace.begin(message);

            //로직 호출
            T result = call();

            trace.end(status);
            return result;
        } catch (Exception e) {
            trace.exception(status, e);
            throw e;
        }
    }

    protected abstract T call();

}
  • AbstractTemplate은 템플릿 메서드 패턴에서 부모 클래스이고, 템플릿 역할을 한다.
  • 템플릿 코드 중간에 call()메서드를 통해서 변하는 부분을 처리한다.
  • abstract T call()은 변하는 부분을 처리하는 메서드이다. 이 부분은 상속으로 구현해야 한다.

OrderControllerV4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app.v4;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logtrace.LogTrace;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template.AbstractTemplate;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ControllerV4 {

    private final OrderServiceV4 orderService;
    private final LogTrace trace;

    @GetMapping("/v4/request")
    public String request(String itemId) {

        AbstractTemplate<String> template = new AbstractTemplate<String>(trace) {
            @Override
            protected String call() {
                orderService.orderItem(itemId);
                return "ok";
            }
        };
        return template.execute("OrderController.request()");
    }
}
  • AbstractTemplate<String>
    • 제네릭을 String으로 설정했다. 따라서 AbstractTemplate의 반환 타입은 String이 된다.
  • 익명 내부 클래스
    • 익명 내부 클래스를 사용한다. 객체를 생성하면서 AbstractTemplate 를 상속받은 자식 클래스를
      정의했다.
    • 따라서 별도의 자식 클래스를 직접 만들지 않아도 된다.
  • template.execute("OrderController.request()")
    • 템플릿을 실행하면서 로그로 남길 message 를 전달한다.
      OrderServiceV4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app.v4;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logtrace.LogTrace;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template.AbstractTemplate;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erviceV4 {

    private final OrderRepositoryV4 orderRepository;
    private final LogTrace trace;

    public void orderItem(String itemId) {
        AbstractTemplate<Void> template = new AbstractTemplate<>(trace) {
            @Override
            protected Void call() {
                orderRepository.save(itemId);
                return null;
            }
        };
        template.execute("OrderService.orderItem()");
    }
}
  • AbstractTemplate<Void>
    • 제네릭에서 반환 타입이 필요한데, 반환할 내용이 없으면 Void타입을 사용하고 null을 반환하면 된다. 참고로 제네릭은 기본 타입인 void, int등을 선언할 수 없다.

OrderRepositoryV4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app.v4;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logtrace.LogTrace;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template.AbstractTemplate;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

@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RepositoryV4 {

    private final LogTrace trace;

    public void save(String itemId) {
        AbstractTemplate<Void> template = new AbstractTemplate<>(trace) {
            @Override
            protected Void call() {
                //저장 로직
                if (itemId.equals("ex"))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예외 발생!");
                }
                sleep(1000);
                return null;
            }
        };
        template.execute("OrderRepository.save()");
    }

    private void sleep(int millis) {
        try {
            Thread.sleep(millis);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

애플리케이션 실행 로그 확인

1-6. 적용2

지금까지 작성한 코드를 비교해보자.

    //OrderServiceV0 코드
    public void orderItem(String itemId) {
        orderRepository.save(itemId);
    }
    //OrderServiceV3 코드
    public void orderItem(String itemId) {
        TraceStatus status = null;
        try {
            status = trace.begin("OrderService.orderItem()");
            orderRepository.save(itemId); //핵심 기능
            trace.end(status);
        } catch (Exception e) {
            trace.exception(status, e);
            throw e;
        }
    }
    //OrderServiceV4 코드
    AbstractTemplate<Void> template = new AbstractTemplate<>(trace) {
        @Override
        protected Void call() {
            orderRepository.save(itemId);
            return null;
        }
    };
    template.execute("OrderService.orderItem()");
  • OrderServiceV0: 핵심 기능만 있다.
  • OrderServiceV3: 핵심 기능과 부가 기능이 함께 섞여 있다.
  • OrderServiceV4: 핵심 기능과 템플릿을 호출하는 코드가 섞여 있다.

V4는 템플릿 메서드 패턴을 사용한 덕분에 핵심 기능에 좀 더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좋은 설계란?

  • 좋은 설계란 변경이 일어날 때 자연스럽게 드러난다.
  • 지금까지 로그를 남기는 부분을 모아서 하나로 모듈화하고, 비즈니스 로직 부분을 분리했다. 여기서 만약 로그를 남기는 로직을 변경해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그래서 AbstractTemplate코드를 변경해야 한다 가정해보자. 단순 AbstractTemplate코드만 변경하면 된다.
  • 템플릿이 없는 V3상태에서 로그를 남기는 로직을 변경해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이 경우 모든 클래스를 다 찾아서 고쳐야 한다.

1-7. 정의

GOF 디자인 패턴에서는 템플릿 메서드 패턴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작업에서 알고리즘의 골격을 정의하고 일부 단계를 하위 클래스로 연기합니다. 템플릿 메서드를 사용하면 하위 클래스가 알고리즘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알고리즘의 특정 단계를 재정의할 수 있습니다."

템플릿 메서드 패턴도 단점은 존재한다.

  • 템플릿 메서드 패턴은 상속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속에서 오는 단점들을 그대로 안고간다. 특히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와 컴파일 시점에 강하게 결합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의존관계에 대한 문제이다.
  • 자식 클래스 입장에서는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 자식 클래스 입장에서는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데, 부모 클래스를 알아야한다. 이것은 좋은 설계가 아니다. 그리고 이런 잘못된 의존관계 때문에 부모 클래스를 수정하면, 자식 클래스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이런 부분들을 더 깔끔하게 개선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템플릿 메서드 패턴과 비슷한 역할을 하면서 상속의 단점을 제거할 수 있는 디자인 패턴이 바로 전략 패턴(Strategy Pattern)이다.

2. 전략 패턴

2-1. 예제1

전략 패턴의 이해를 돕기 위해 템플릿 메서드 패턴에서 만들었던 동일한 예제를 사용해보겠습니다.

  • 탬플릿 메서드 패턴은 부모 클래스에 변하지 않는 템플릿을 두고, 변하는 부분을 자식 클래스에 두어서 상속을 사용해서 문제를 해결했다.

--> 전략 패턴은 변하지 않는 부분을 Context라는 곳에 두고, 변하는 부분을 Strategy라는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도록 해서 문제를 해결한다. 상속이 아니라 위임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Strategy 인터페이스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code.strategy;

public interface Strategy {
    void call();
}

StrategyLogic1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code.strategy;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Slf4j
public class StrategyLogic1 implements Strategy {
    @Override
    public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
}

StrategyLogic2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code.strategy;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Slf4j
public class StrategyLogic2 implements Strategy {
    @Override
    public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2 실행");
    }
}

ContextV1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code.strategy;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 필드에 전략을 보관하는 방식
@Slf4j
public class ContextV1 {
    
    private Strategy strategy;
    
    public ContextV1(Strategy strategy) {
        this.strategy = strategy;
    }
    
    public void execute() {
        long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비즈니스 로직 실행
        strategy.call(); //위임
        //비즈니스 로직 종료
        long end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long resultTime = endTime - startTime;
        log.info("resultTime={}", resultTime);
    }
}
  • ContextV1은 변하지 않는 로직을 가지고 있는 템플릿 역할을 하는 코드이다. 전략 패턴에서는 이것을 컨텍스트(문맥)이라 한다.
  • Context는 내부에 Strategy strategy필드를 가지고 있다. 이 필드에 변하는 부분인 Strategy의 구현체를 주입하면 된다.
  • 전략 패턴의 핵심은 ContextStrategy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한다는 점이다. 덕분에 Strategy의 구현체를 변경하거나 새로 만들어도 Context코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ContextV1Test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code.strategy.ContextV1;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code.strategy.Strategy;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code.strategy.StrategyLogic1;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code.strategy.StrategyLogic2;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Slf4j
public class ContextV1Test {

    @Test
    void strategyV0() {
        logic1();
        logic2();
    }

    private void logic1() {
        long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비즈니스 로직 실행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비즈니스 로직 종료
        long end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long resultTime = endTime - startTime;
        log.info("resultTime={}", resultTime);
    }

    private void logic2() {
        long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비즈니스 로직 실행
        log.info("비즈니스 로직2 실행");
        //비즈니스 로직 종료
        long end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long resultTime = endTime - startTime;
        log.info("resultTime={}", resultTime);
    }

    // 전략 패턴 사용
    @Test
    void strategyV1() {
        Strategy strategyLogic1 = new StrategyLogic1();
        ContextV1 context1 = new ContextV1(strategyLogic1);
        context1.execute();

        Strategy strategyLogic2 = new StrategyLogic2();
        ContextV1 context2 = new ContextV1(strategyLogic2);
        context2.execute();
    }
}
  • 코드를 보면 의존관계 주입을 통해 ContextV1Strategy의 구현체인 strategyLogic1를 주입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해서 Context 안에 원하는 전략을 주입한다.

전략 패턴 실행 그림

테스트 결과

2-2. 예제2

전략 패턴도 익명 내부 클래스를 사용할 수 있다.

ContextV1Test - 추가

    // 전략 패턴 익명 내부 클래스1
    @Test
    void strategyV2() {
        Strategy strategyLogic1 = new Strategy() {
            @Override
            public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
        };
        log.info("strategyLogic1={}", strategyLogic1.getClass());
        ContextV1 context1 = new ContextV1(strategyLogic1);
        context1.execute();

        Strategy strategyLogic2 = new Strategy() {
            @Override
            public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2 실행");
            }
        };
        log.info("strategyLogic2={}", strategyLogic2.getClass());
        ContextV1 context2 = new ContextV1(strategyLogic2);
        context2.execute();
    }

    // 전략 패턴 익명 내부 클래스2
    @Test
    void strategyV3() {
        ContextV1 context1 = new ContextV1(new Strategy() {
            @Override
            public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
        });
        context1.execute();

        ContextV1 context2 = new ContextV1(new Strategy() {
            @Override
            public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2 실행");
            }
        });
        context2.execute();
    }

    // 전략 패턴, 람다
    @Test
    void strategyV4() {
        ContextV1 context1 = new ContextV1(() ->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context1.execute();

        ContextV1 context2 = new ContextV1(() -> log.info("비즈니스 로직2 실행"));
        context2.execute();
    }
  • 익명 내부 클래스를 변수에 담아두지 말고, 생성하면서 바로 ContextV1에 전달해도 된다.
  • 익명 내부 클래스를 자바8부터 제공하는 람다로 변경할 수 있다. 람다로 변경하려면 인터페이스에 메서드가 1개만 있으면 되는데, 여기에서 제공하는 Strategy인터페이스는 메서드가 1개만 있으므로 람다로 사용할 수 있다.

살짝 더 유연한 방식의 전략 패턴을 사용하는 방법은 없을까??

2-3. 예제3

  • 이번에는 전략 패턴을 조금 다르게 사용해보자.
  • 전략을 실행할 때 직접 파라미터로 전달해서 사용해보자.

ContextV2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code.strategy;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 전략을 파라미터로 전달 받는 방식
@Slf4j
public class ContextV2 {
    public void execute(Strategy strategy) { // 파라미터
        long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비즈니스 로직 실행
        strategy.call(); //위임
        //비즈니스 로직 종료
        long end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long resultTime = endTime - startTime;
        log.info("resultTime={}", resultTime);
    }
}

ContextV2Test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code.ContextV2;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code.StrategyLogic1;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code.StrategyLogic2;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Slf4j
public class ContextV2Test {
    
    // 전략 패턴 적용
    @Test
    void strategyV1() {
        ContextV2 context = new ContextV2();
        context.execute(new StrategyLogic1()); // 파라미터 전달
        context.execute(new StrategyLogic2());
    }
}
  • ContextStrategy를 '선 조립 후 실행'하는 방식이 아니라 Context 를 실행할 때 마다 전략을 인수로
    전달한다.
  • 테스트 코드를 보면 하나의 Context만 생성한다. 그리고 하나의 Context에 실행 시점에 여러 전략을 인수로 전달해서 유연하게 실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ontextV2Test - 추가

    // 전략 패턴 익명 내부 클래스
    @Test
    void strategyV2() {
        ContextV2 context = new ContextV2();

        context.execute(new Strategy() {
            @Override
            public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
        });

        context.execute(new Strategy() {
            @Override
            public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2 실행");
            }
        });
    }

    // 전략 패턴 익명 내부 클래스2, 람다
    @Test
    void strategyV3() {
        ContextV2 context = new ContextV2();
        context.execute(() ->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context.execute(() -> log.info("비즈니스 로직2 실행"));
    }
  • 역시 익명 내부 클래스, 람다식으로도 사용 할 수 있다.

정리

  • ContextV1은 필드에 Strategy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전략 패턴을 구사했다.
    • 선 조립, 후 실행 방법에 적합하다.
    • Context를 실행하는 시점에는 이미 조립이 끝났기 때문에 전략을 신경쓰지 않고 단순히 실행만 하면 된다.
  • ContextV2는 파라미터에 Strategy를 전달받는 방식으로 전략 패턴을 구사했다.
    • 실행할 때 마다 전략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 단점 역시 실행할 때 마다 전략을 계속 지정해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3. 템플릿 콜백 패턴

3-1. 시작

  • ContextV2는 변하지 않는 템플릿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변하는 부분은 파라미터로 넘어온 Strategy의 코드를 실행해서 처리한다.
  • 이렇게 다른 코드의 인수로서 넘겨주는 실행 가능한 코드를 콜백(callback)이라 한다.
  • callback은 코드가 호출(call)은 되는데 코드를 넘겨준 곳의 뒤 (back)에서 실행된다는 뜻이다.
    • ContextV2예제에서 콜백은 Strategy이다.
    • 여기에서는 클라이언트에서 직접 Strategy를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가 ContextV2.execute(..)를 실행할 때 Strategy를 넘겨주고, ContextV2뒤에서 Strategy가 실행된다.

템플릿 콜백 패턴

  • 스프링에서는 ContextV2와 같은 방식의 전략 패턴을 템플릿 콜백 패턴이라 한다. 전략 패턴에서 Context가 템플릿 역할을 하고, Strategy부분이 콜백으로 넘어온다 생각하면 된다.
  • 참고로 템플릿 콜백 패턴은 GOF 패턴은 아니고, 스프링 내부에서 이런 방식을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스프링 안에서만 이렇게 부른다. 전략 패턴에서 템플릿과 콜백 부분이 강조된 패턴이라 생각하면 된다.
  • 스프링에서는 JdbcTemplate, RestTemplate, TransactionTemplate, RedisTemplate처럼 다양한 템플릿 콜백 패턴이 사용된다. 스프링에서 이름에 XxxTemplate가 있다면 템플릿 콜백 패턴으로 만들어져 있다 생각하면 된다.

3-2. 예제

템플리 콜백 패턴은 ContextV2와 내용이 똑같고 이름만 다르기 때문에 위 예제와 거의 똑같다.

  • Context -> Template
  • Strategy -> Callback

Callback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code.template;

public interface Callback {
    void call();
}

TemplateCallbackTest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code.template.Callback;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strategy.code.template.TimeLogTemplate;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Slf4j
public class TemplateCallbackTest {

    // 템플릿 콜백 패턴 - 익명 내부 클래스
    @Test
    void callbackV1() {
        TimeLogTemplate template = new TimeLogTemplate();
        template.execute(new Callback() {
            @Override
            public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
        });
        template.execute(new Callback() {
            @Override
            public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2 실행");
            }
        });
    }

    // 템플릿 콜백 패턴 - 람다
    @Test
    void callbackV2() {
        TimeLogTemplate template = new TimeLogTemplate();
        template.execute(() ->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template.execute(() -> log.info("비즈니스 로직2 실행"));
    }
}

테스트 결과

3-3. 적용

이제 템플릿 콜백 패턴을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해보겠습니다.

TraceCallback 인터페이스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callback;

public interface TraceCallback<T> {
    T call();
}
  • 콜백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이다.
  • <T> 제네릭을 사용했다. 콜백의 반환 타입을 정의한다.

TraceTemplate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callback;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TraceStatus;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logtrace.LogTrace;

public class TraceTemplate {
    
    private final LogTrace trace;
    
    public TraceTemplate(LogTrace trace) {
        this.trace = trace;
    }
    
    public <T> T execute(String message, TraceCallback<T> callback) {
        TraceStatus status = null;
        try {
            status = trace.begin(message);
            //로직 호출
            T result = callback.call();
            trace.end(status);
            return result;
        } catch (Exception e) {
            trace.exception(status, e);
            throw e;
        }
    }
    
}
  • TraceTemplate는 템플릿 역할을 한다.
  • execute(..)를 보면 message데이터와 콜백인 - TraceCallback callback을 전달 받는다. <T>제네릭을 사용했다. 반환 타입을 정의한다.

OrderControllerV5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app.v5;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callback.TraceCallback;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callback.TraceTemplate;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logtrace.LogTrac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RestController
public class OrderControllerV5 {

    private final OrderServiceV5 orderService;
    private final TraceTemplate template;

    public OrderControllerV5(OrderServiceV5 orderService, LogTrace trace) {
        this.orderService = orderService;
        this.template = new TraceTemplate(trace);
    }

    @GetMapping("/v5/request")
    public String request(String itemId) {
        return template.execute("OrderController.request()", new TraceCallback<>() {
            @Override
            public String call() {
                orderService.orderItem(itemId);
                return "ok";
            }
        });
    }
}
  • template.execute(.., new TraceCallback(){..}): 템플릿을 실행하면서 콜백을 전달한다. 여기서는 콜백으로 익명 내부 클래스를 사용했다.

OrderServiceV5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app.v5;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callback.TraceTemplate;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logtrace.LogTrac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Service
public class OrderServiceV5 {

    private final OrderRepositoryV5 orderRepository;
    private final TraceTemplate template;

    public OrderServiceV5(OrderRepositoryV5 orderRepository, LogTrace trace) {
        this.orderRepository = orderRepository;
        this.template = new TraceTemplate(trace);
    }

    public void orderItem(String itemId) {
        template.execute("OrderService.orderItem()", ()->{
                orderRepository.save(itemId);
                return null;
        });
    }
}

OrderRepositoryV5

package com.example.springadvanced.app.v5;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callback.TraceTemplate;
import com.example.springadvanced.trace.logtrace.LogTrac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

@Repository
public class OrderRepositoryV5 {

    private final TraceTemplate template;

    public OrderRepositoryV5(LogTrace trace) {
        this.template = new TraceTemplate(trace);
    }

    public void save(String itemId) {
        template.execute("OrderRepository.save()", () -> {
            //저장 로직
            if (itemId.equals("ex"))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예외 발생!");
            }
            sleep(1000);
            return null;
        });
    }

    private void sleep(int millis) {
        try {
            Thread.sleep(millis);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

애플리케이션 실행 확인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참고
김영한: 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인프런)
Github - https://github.com/b2b2004/Spring_ex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