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드(node)
데이터를 생성, 중계, 라우팅하는 디바이스
(예 : 컴퓨터, 스마트폰, 서버, 라우터, 스위치)
링크(link)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물리적인 경로
(예 : 케이블, 광케이블,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 평가 지표
1. 처리량 ⬆️
2. 지연 시간 ⬇️
3. 장애 빈도 ⬇️
4. 보안 ⬆️
트래픽
특정 시점에 링크 내에 흐르는 데이터의 양
ex)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클라이언트가 다운로드할 때 발생되는 데이터의 누적
대역폭
네트워크에서 주어진 시간 동안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비트 수)으로, 대역폭이 높을수록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대량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 호스의 크기. 크기가 적으면 적은 처리량, 크면 많은 처리량
처리량은 높다고 해서 항상 좋은 것이 아니다.
ex) 대량의 작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 처리량보다는 지연 시간이 더 중요하다.
요청이 처리되는 시간
어떤 메시지가 두 장치 사이를 왕복하는 데 걸린 시간
영향 요소 : 매체 타입(무선, 유선), 패킷 크기, 라우터의 패킷 처리 시간
크게 전송 지연 시간, 처리 지연 시간, 대기 지연 시간으로 나뉜다.
LAN | MAN | WAN | |
---|---|---|---|
전송 속도 | 빠름 | 평균 | 낮음 |
혼잡도 | 낮음 | LAN보다 혼잡 | MAN보다 혼잡 |
애플리케이션 코드상 문제가 없으나, 사용자가 서비스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지 못하는 상황은 네트워크 병목 현상일 가능성이 있다. 네트워크 병목 현상이 의심된다면 네트워크와 무관한 테스트를 통해 정상 작동을 확인한 후 네트워크 성능 분석을 해야 한다.
ping
네트워크 상의 다른 호스트와의 연결 상태와 응답 시간을 확인하는 명령어
주로 연결 테스트 및 지연 시간 측정에 사용
tracert
송신자와 목적지 호스트 사이 경로를 추적하며, 각 중간 노드와의 지연 시간을 확인하는 명령어
네트워크 상의 문제 지점이나 지연을 발견할 수 있다.
ipconfig
호스트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명령어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등의 정보 확인 가능
nslookup
도메인 이름과 해당 IP 주소 간의 매핑 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어
DNS 서버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
netstat
현재 시스템에서 활성화된 네트워크 연결, 포트 상태, 통계 정보 등을 확인하는 명령어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진단하거나 사용 중인 포트를 확인하는 데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