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ocol

Single Ko·2023년 4월 3일
0

http

목록 보기
1/15


의미 - 컴퓨터 내부에서, 또는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 기기 간 통신은 교환되는 데이터의 형식에 대해 상호 합의를 요구한다. 이런 형식을 정의하는 규칙의 집합을 프로토콜이라 한다.

  • 물리적 측면: 자료 전송에 쓰이는 전송 매체, 접속용 단자 및 전송 신호, 회선 규격 등.

  • 논리적 측면: 프레임(Frame, 자료의 표현 형식 단위) 구성, 프레임 안에 있는 각 항목의 뜻과 기능, 자료 전송의 절차 등.

    • 폐쇄적인 프로토콜: 자사 장치들끼리 통신하기 위한 독자적인 통신 규약이며, 자세한 규격이 공개되어 있지 않아서 크래킹 위협에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ex: IBM의 SNA, SDLC 프로토콜)
    • 공개된 범용 프로토콜: 여러 장치들에 쓰이는 널리 알려진 규격이며, 규격이 널리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컴퓨터와 네트워크 크래킹에 취약한 편이다. (ex: 인터넷의 TCP/IP)

    프로토콜의 종류

    TCP/I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FTP : File Transfer Protocol
    SFTP :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 TErminaL NETwork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SH : Secure Shell
    SSL : Secure Socket Layer
    SOAP :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등이 있는데, 현재 가장 중요하고 대부분을 차지하는것은 인터넷과 관련된 것이고, 거기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게 HTTP이고, HTTP를 통해 모든것이 이루어진다고 해도 된다. 중점적으로 HTTP를 살펴볼 예정이다.

profile
공부 정리 블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