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3의 가장 중요한 변화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사용에서 QUIC(Quick UDP Internet Connections)라는 새로운 전송 계층 프로토콜과 결합된 UDP(User Datagram Protocol)로의 전환이다.
QUIC은 지연 시간을 줄이고 보안을 강화하며 연결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더 나은 지원을 제공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글에서 처음으로 만들고 주도했다. QUIC가 HTTP/3로 표준화됨에 따라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프로토콜을 추가로 개발하고 표준화 했다.
QUIC 프로토콜: HTTP/3은 TCP를 QUIC 프로토콜로 대체한다. 이 프로토콜은 더 빠르고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QUIC은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 정체 제어 및 내장 암호화를 포함하여 TCP 및 UDP의 최고의 기능을 결합하는 동시에 대기 시간을 줄이고 연결 마이그레이션을 더 훌륭하게 지원한다.
향상된 연결 설정: QUIC는 전송 계층 핸드셰이크를 TLS(전송 계층 보안) 핸드셰이크와 결합하여 연결 설정에 걸리는 시간을 줄인다. 그 결과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왕복 횟수가 줄어들어 연결 대기 시간이 줄어든다.
향상된 멀티플렉싱: HTTP/2가 멀티플렉싱을 도입했지만 단일 손실 패킷이 후속 패킷 처리를 지연시킬 수 있는 "head-of-line blocking"(HOL Blocking)으로 알려진 문제에 여전히 취약했다. HTTP/3은 서로 다른 스트림의 독립적인 처리를 허용하는 QUIC를 사용하여 이 문제를 극복하여 프로토콜이 HOL(head-of-line) 차단에 더 강력하다.
연결 마이그레이션(더 나은 환경으로 이동): QUIC은 Wi-Fi에서 셀룰러 데이터로의 전환과 같은 기본 네트워크의 변경 사항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었다.(WiFi에 연결하여 동영상을 시청하는 도중에 자리를 이탈하여 셀룰러 신호로 바뀌더라도 HTTP/3로 연결되어 있으면 영상을 끊김없이 시청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연결이 변경되도 진행 중인 데이터 스트림이 중단 없이 원활하게 계속될 수 있습니다.
내장 암호화: QUIC에는 암호화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HTTP/3 연결이 기본적으로 안전하다.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한 브라우징 경험을 제공하고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교환되는 모든 데이터를 보호한다.
번외 )
https://w3techs.com/technologies/details/ce-http3
HTTP3를 이용하는 웹사이트 비율을 볼 수 있다.
HTTP/3 is used by 25.7% of all the websites.
HTTP/3가 웹브라우저에 적용되기 시작한것이 2020년 경이고, 표준화과 2022년 6월에 되어서야 완료된것을 생각하면 굉장히 빠르게 바뀌고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