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작동 방식

developsy·2022년 5월 5일
0

본격적인 개발 언어 공부에 앞서 웹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공부했다. 강의는 udemy의 100일 코딩 챌린지 - 2022 web development 부트캠프를 참고했다.

웹 작동 방식: 웹 브라우저에 주소를 입력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출처 - http://www.tcpschool.com/webbasic/works

  • 어떤 목적을 가지고 웹 페이지에 접속하려 할 때 우리는 웹 페이지의 주소를 브라우저에 입력한다. 주소를 입력 받은 브라우저는 인터넷 상의 특정 원격 컴퓨터에 내가 방문한다는 요청을 보내는데, 이 때 요청을 하는 쪽을 클라이언트(프론트엔드), 요청을 받는 쪽을 서버(백엔드), 주소를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라고 부른다.

  • 이러한 과정은 같은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 표준화 되어 있는데, 이것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이다. 요청을 받은 서버는 웹 개발자들이 작성한 웹사이트 코드를 사용하여 브라우저 화면에 어떤 콘텐츠를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를 응답으로써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최종적으로 브라우저는 이 응답을 받고 화면에 무언가를 표시하게 된다.

URL

https://academind.com/tutorials
이러한 URL이 있다고 치자. 각 요소를 쪼개보면 URL의 구성요소를 알 수 있다.

  1. https -> 앞서 기술했듯이 서버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브라우저에서 자동으로 추가되는 부분이다.

  2. academind.com -> 도메인.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주소이자 웹 사이트를 식별하는 부분이다.

  3. /tutorials -> 이는 URL의 path를 의미한다. 웹 사이트의 특정 리소스와 특정 페이지에 대한 포인터 역할을 담당한다.

+추가로 검색을 해보니 이것들 말고도 포트번호, 쿼리 등 다른 구성요소들이 있었다.

DNS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보내는 요청은 도메인으로만 전송되지 않고 IP주소를 이용한다.
  • 인터넷 상의 모든 장치는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인터넷상의 장치들이 어떻게 식별되는지 제어하는 표준이다. IP주소는 인터넷상의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고 대화하는 데에 필요므로, 모든 장치는 IP주소를 반드시 가지고 있으나 도메인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 하지만 우리는 IP주소보다는 도메인을 가지고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DNS(domain name system) server가 사용된다. 이 서버에는 매핑 테이블이 포함되어 있는데, 매핑 테이블에는 모든 도메인 및 거기에 속하는 IP주소가 포함되어 있다.

  • 그러므로 amazon.com을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먼저 브라우저는 도메인을 IP주소로 변환하기 위해 DNS서버와 먼저 대화를 하고, DNS에서 IP주소를 받으면 브라우저의 실제 요청을 서버로 보낸다. 따라서 IP주소는 특정 도메인에 속하는 웹사이트를 호스팅하는 원격 컴퓨터의 주소라고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글의 가독성이 떨어지므로 블로그 경력이 쌓이면 읽기 좋게 수정해보고 싶다.

profile
공부 정리용 블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