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베쿠] 3-2. kubectl command/pod 생성하기

ansunny1170·2022년 9월 7일
0

따배쿠

목록 보기
1/3

https://www.youtube.com/watch?v=QGF7igBYSEI&list=PLApuRlvrZKohaBHvXAOhUD-RxD0uQ3z0c&index=8

kubectl = k

# 전체 kubectl 리소스 확인, 약어 정보 확인
k api-resources

# node 정보 확인
k get nodes
# -o wide 옵션 더 자세하게 확인
k get nodes -o wide
# dscribe 으로 상세 정보 확인
k describe <resource> <resource name>
k describe node ~~~

# pod 생성하기
k run webserver --image=nginx:1.14 --port 80
# pod 확인
k get pods
# pod 상세 정보 확인
k describe pod webserver
# pod IP로 접근
curl 10.44.0.1<get pod에서 확인한 IP>

# deployment 생성
k create deployment mainui --image=httpd --replicas=3
# deployment 확인
k get deployments.app
# pod를 확인하면 디폴로이먼트 하위 pod가 3개 생긴 것을 확인 가능
# -o json, -o wide, -o yaml 옵션으로 확인 가능

# kubectl [comman][TYPE][NAME][flags]
kubectl get pod webserver -o wide
command: 자원(object)에 실행할 명령(create,get,delete,edit...)
TYPE: 자원의 타입(node,pod,service)
NAME: 자원의 이름
flags: 부가적으로 설정할 옵션(--help, -o options...)

# pod의 컨테이너 내부로 접근
k exec -it webserver -- /bin/bash

# port-forward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
k port-forward webserver 8080:80
# 포트포워딩은 무조건 pod에서만 사용 가능하여 pod 입력 불필요
# 이렇게하면 localhost:8080으로 접근 가능

# 동작중인 object 수정 vi editor
k edit deployment.app mainui
# replicar 값을 변경하고 저장하고 나오면 적용 됨
# pod 확인해서 개수 확인 가능

# yaml 파일로 끄집어 내기
#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면 드라이 런이기 떄문에 사용가능한지만 체크함
k run webserver --image=nginx1.14 --port --dry-run
# 그리고 여기에 -o yaml 옵션을 사용하면 yaml 포맷으로 확인가능
k run webserver --image=nginx1.14 --port --dry-run -o yaml
# 또한 이것을 파일화 하여 끄집어 낼 수 있음
k run webserver --image=nginx1.14 --port --dry-run -o yaml > webserver-pod.yaml
# 명령 내리는 현재 위치에 생성됨

# 생성된 yaml파일 수정하여 추후 사용 가능
vi webserver-pod.yaml
# 필요없는 것은 dd 로 줄 삭제 그리고 .으로 행동 복제

# 기존의 pod지우고 파일로 생성할 것임
k delete pod webserver
k create -f webserver-pod.yaml
profile
공정 설비 개발/연구원에서 웹 서비스 개발자로 경력 이전하였습니다. Node.js 백엔드 기반 풀스택 개발자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