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비트 연산 : 프로그래머스 - 비밀지도

Jade·2023년 2월 13일
1

알고래즘

목록 보기
18/20
post-thumbnail

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 다행히 지도 암호를 해독할 방법을 적어놓은 메모도 함께 발견했다.

지도는 한 변의 길이가 n인 정사각형 배열 형태로, 각 칸은 "공백"(" ") 또는 "벽"("#")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지도는 두 장의 지도를 겹쳐서 얻을 수 있다. 각각 "지도 1"과 "지도 2"라고 하자.

  •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
  •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
  • "지도 1"과 "지도 2"는 각각 정수 배열로 암호화되어 있다.
  • 암호화된 배열은 지도의 각 가로줄에서 벽 부분을 1, 공백 부분을 0으로 부호화했을 때 얻어지는 이진수에 해당하는 값의 배열이다.

이진수로 변환했을 때 n보다 짧은 길이의 이진수로 변환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가 이진법의 경우 비트 연산을 활용하면 편리하게 문제를 풀 수 있는 경우가 많다는 걸 발견해서 비트 연산자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And (&)

두 비트가 모두 1일 경우에만 1를 반환한다.
두 비트 중 하나라도 0이라면 0를 반환한다.


OR (|)

두 비트 중 하나라도 1일 경우에는 1를 반환한다.
두 비트가 모두 0인 경우에만 0를 반환한다.

프로그래머스 비밀지도 문제가 이 OR 연산자를 이용한 문제에 해당한다.

function solution(n, arr1, arr2) {
const result = [];
for (let i = 0; i < n; i++) {
  	//arr1과 arr2의 각 요소들을 이진법 숫자로 바꾸면서 
  	//바뀐 이진숫자를 OR 연산한다
    const bitOperate = (arr1[i] | arr2[i]).toString(2)
    //연산한 이진 숫자의 길이가 n보다 적을 경우 
    //padStart 매서드를 이용해 앞쪽에 필요한 만큼 0을 채워준다 
    const addZero = bitOperate.padStart(n, '0')
    //0인 자리를 공백으로, 1인 자리를 #으로 바꿔준다
    const replace = addZero.replaceAll("0", " ").replaceAll("1", "#")
    //result 배열에 완성한 문자열을 push 해준다 
    result.push(replace)
}
return result;
}

XOR(^)

두 비트의 값이 같은 경우 0를 반환한다.
두 비트값이 다른 경우에는 1를 반환한다.


NOT(~)

1을 0으로, 0을 1로 반전시킨다.


SHIFT(<<)/(>>)

왼쪽 SHIFT 연산자는 모든 비트를 왼쪽으로 x 칸씩 이동시킨다.
이동 범위를 초과하는 값은 버려지고, 새로 생긴 빈 칸은 0으로 채워진다.
몇 칸 이동했는지에 따라 2의 제곱만큼 수가 곱해진다.

const b5 = 4 << 2;
console.log(b5); //16
//4를 2비트 왼쪽으로 이동한다.
//0000 0100 4
//0000 1000 8(1비트 이동)
//0001 0000 16(2비트 이동)
//4 * 2 * 2

오른쪽 SHIFT 연산자는 모든 비트를 오른쪽으로 x 칸씩 이동시킨다.
이동 범위를 초과하는 부분은 버려진다.
오른쪽에 있는 비트가 소멸되기 때문에 규칙성이 없다.

const b6 = 4 >> 2;
console.log(b6); //1
//4를 2비트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0000 0100 4
// 000 0010 2(1비트 이동)
//  00 0001 1(2비트 이동)

예시 이미지 참고

예시 참고

profile
키보드로 그려내는 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