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는 axiox를 이렇게 사용한다.

Front에서도 미리 정의한 코드 정의서나 API가 넘겨줄 상수를 받아 사용하기 위해 정의한다.

지역변수와 전역변수가 있듯 vue 컴포넌트도 전역으로 설정하면 import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route.js파일을 커스텀해 미리 템플릿을 만들어 놓고 사용해 보자.

route 디렉토리에 정해진 대로 화면 제목을 return해 사용 해 보자

kindergarten으로 화면단에서도 권한체크를 해 보자

mixins에 정의 된 함수도 글로벌하게 전역으로 설정해 import하지 않고 사용 해 보자

vee-validate에 대해 알아보자

sweetAlert을 통해 예쁜 알랏창을 구현 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