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을 만들어 내는 간단한 코드
가장 기본적인 출력 방법 = console객체의 log()메소드 사용간단한 덧셈 확인 결과등 간단한 코드에 사용power shell에서 node를 입력해서 사용
\+ 덧셈 연산자\- 뺄셈 연산자/\* 곱셈 연산자/ 나눗셈 연사자
변수는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식별자1\. 변수 선언2\. 변수에 값을 할당다른 언어와 다르게 변수에 자료형 지정이 필요하지 않음let을 사용하여 변수를 지정함변수에 자료형 따로 지정할 필요없음{}출력됨
a+=100 은 a = a+100과 동일한 입력이다문자열에서도 문자열 연결자인 +를 사용할 수 있는데, +=도 문자열에서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다실행결과428실행결과428실행결과안녕하세요. 적당히 바람이 시원해 기분이 너무 좋아요문자열 뒤의 띄어쓰기 까지 보이는대로 출력
자바스크립트는 하나에 변수에 여러 자료형을 넣을 수 있다.자료형의 확인이 필요할시 typeof '연산자'를 사용한다.
Number() 숫자로 자료형을 변환합니다.String() 문자열로 자료형을 변환합니다.Boolean() 불로 자료형을 변환합니다.'안녕하세요' 를 숫자로 변경할 수 없어 NaN이라 출력됨NaN 이란 Not a Number 의 준말NaN은 어떠한 값과 비교해도 무조건적
숫자와 문자열을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면 자동으로 숫자가 문자열로 변경되어 합쳐짐\+가 아닌 연산자의 경우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하여 연산불 자료형 자동 변환!!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불 자료형으로 변환실행결과falsefalsefalsefalsefalse
=== 자료형과 값이 같은지 비교!== 자료형과 값이 다른지 비교실행결과20 == "20" : true20 === "20" : false0 == "" : true0 === "" : false변경하지 않을 대상에 상수를 적용함const를 사용하여 상수를 지정함실행결과pi
문제 1 실행결과 >325 52273 52273 52273 +연산자를 사용하여 숫자와 문자열을 합치면 숫자가 문자열로 자동으로 변환되어 합쳐짐 문제 2 실행결과 >30!!!! 문제 3 실행결과 >error뿜뿜 const를 사용하여 상수를 선언하였는데 증감자
불 표현식이 true 이면 {중괄호}안의 문장을 실행, false라면 무시하고 진행함실행결과홀수실행결과오후(자기 시간에 맞게 출력됨)불 표현식이 true 이면 {중괄호}안의 문장을 실행, false라면 else{중괄호}안의 문장을 실행실행결과홀수실행결과오후(자기 시간에
조건문 안에 조건문이 있는 경우를 중첩 조건문이라 한다.if else if 조건문을 사용하면 중첩 조건문을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비교할 값'에서 나온 결과 값에 따라 case가 실행된다.break;를 사용해야 무한루프에 빠지지 않는다.아무 case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default가 실행된다.(else같은 느낌)불표현식 ? true일때실행값 : false일때실행값조건 연산자를 활용한 변수
입력 값 >> 실행 결과x=2, y=10 >> 공란x=1, y=4 >> 공란x=10, y=2 >> 공란변경
ctrl+c, ctrl+v의 연속"출력"이란 문자열이 출력 될때마다 i가 1씩 증가, 총 1000번 반복됨i를 int가 아닌 let으로 선언하는 것을 제외하면 자바, C와 동일하게 사용 가능배열 안에 들어가 있는 자료를 '요소Element'라고 칭한다.배열에 접근할 때
가장 기본적인 반복문역으로 반복해야 되는 경우도 있음ex) 배열을 역으로 출력불 표현식이 true인 동안에는 무한으로 반복한다.만약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무한루프에 빠지게 된다.불 표현식이 false이게 만들어 while 반복문을 종료 시킨다.만약 아래와 같은 6번 반
배열을 활용한 반복문에서 주로 사용함배열 출력 예시실행결과사과배포도딸기바나나배열 출력 예시실행결과사과배포도딸기바나나
항상 나를 괴롭힌 중첩 반복문 별찍기...유형 1실행결과★★★★★★★★★★★★★★★★★★★★★★★★★★★★★★★★★★★★★★★★★★★★★★★★★★★★★★★유형2velog라 빈칸이 아닌 ○를 이용함실행결과○○○○○○○○○★○○○○○○○○★★○○○○○○○★★★○○○○○○★
무한루프에서 탈출 하기 위해 사용실행결과처음 발견한 짝수는 8입니다.실행결과13579
출력출력출력출력출력출력출력출력출력출력가장 작은 수와 가장 큰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작성배열 역순 출력
익명 함수 익명 함수는 다음 방법으로 생성, 사용 실행결과 > 출력 1 출력 2 [Function: 함수이름] 리터럴 변수 안에 들어 있는 상태가 아니라, 문자 그대로 자료를 나타내는 것 을 리터럴이라고 합니다. 선언적 함수 선언적 함수는 다음 방법으로 생성, 사용 > 출력 1 출력 2 [Function: 함수이름] 화살표 함수 화살표 함수는 다음...
실행결과100121실행결과2033실행결과"안녕하세요""자바스크립트"자바스크립트는 함수를 변수에 저장할 수 있어 함수를 함수의 매개 변수로 전달할 수 있다.함수 호출함수 호출함수 호출함수 호출함수 호출함수 호출함수 호출함수 호출함수 호출함수 호출
자바스크립트는 기본적을 필요한 함수를 제공한다.이렇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함수를 '내장 함수'라고 한다.parseInt() :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parseFloat() : 문자열을 실수로 변환setTimeout(함수, 시간) : 특정 시간 후에 함수를 실행합니다.se
문제 1 실행 결과 > 10 1000 NaN 문제 2 함수 이름 : power -매개 변수를 하나 넣으면 제곱해 준다. (ex. power(2)=4) -매개 변수를 2개 넣으면 첫 번째 매개 변수를 두 번째 매개 변수 만큼 제곱해 준다. (ex. power(2,3
객체는 여러 개의 자료형을 한 번에 저장하는 자료형이다.객체의 요소에 접근하는 방법 1객체의 요소에 접근하는 방법 2객체에는 for in 반복문을 적용할 수 있다.name: 바나나price: 1200
객체 내부에 있는 값 하나하나는 속성(Propetty)라고 한다.배열처럼 객체도 다양한 자료형을 입력할 수 있다.객체에 있는 속성을 메소드에서 사용하고 싶을 경우에는 자신이 가진 속성임을 표시하기 위해 this키워드를 사용한다.실행 결과바나나의 가격은 1200원 입니다
다음 표를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나타내시오다음 표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클래스를 만드시오(클래스 이름은 Product)
자바스크립트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개체를 제공합니다.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위의 링크에서 수 많은 자바스크립트의 내장 객체를 확인 가능자바스크립트에
Number 객체 Number객체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숫자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숫자는 다음 2가지 방법으로 생성 가능 => 기본 자료형과 객체 자료형 메소드 |메소드|설명| |:-|:-| |toExponential()|숫자를 지수 표시로 나타낸 문자열을 리턴|
메소드 활용Date 객체는 특정 시간 요소를 가져오는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다.배열의 push, pop실행 결과\-배열에서 꺼낸 요소{ name: '바나나', price: 1500 }\-pop() 메소드를 호출한 이후의 배열 { name: '고구마', price: 10
프로그램을 실해하는 동안 문제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중단된다.이렇게 발생한 오류를 예외(Exception)이라고 한다.이러한 오류를 대처할 수 있게하는 것이 예외처리(Exception Handling)라고 한다.예외처리에는 기본 예외처리와 고급 예외처리가 있다
예외가 발생했을 때 어떤 예외가 발생했는지 정보를 함께 전달 받을수 있도록 한다.예외 객체는 다음과 같이 catch구문의 괄호 안에 들어 있는 변수를 나타낸다.마음대로 이름을 붙일 수 있지만 주로 e, exception 을 사용한다.예외 객체에는 name속성과, mes
JavaScript의 등장이전 1993년, ui요소를 가진 최초의 웹브라우저인 Mosaic Web Browser가 시장에 공개되었다. 이때의 개발자인 Marc Andreessen은 1994년 대학을 졸업하면서 NetScape를 설립한다. NetScape사는 조금더 ui
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아라비아숫자, 알파벳, 한글, 기호('".{}\[] 등)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표현식이 평가되면 새로운 값을 생성하거나 기존값을 참조한다.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단
다른언어의 int, long, float, double 등 다양한 숫자타입과 대응되는 타입자바스크립트는 정수, 실수, 2진수, 8진수, 16진수 모두 구분하지 않음Infinity : 양의 무한대\-Infinity : 음의 무한대NaN : 산술 연산 불가'' "" \`\
최대한 깊이 내려간뒤, 마지막 노드를 찍고 옆으로 이동개념 : 루트 노드에서 시작해서 다음 분기로 넘어가기 전에 해당 분기를 완벽하게 탐색장점 : BFS에 비해 좀 더 간단함단점 : 탐색 속도가 느림구현 : 스택 또는 재귀함수로 구현//스택 사용//재귀함수 사용최대한
원시값 변경 불가능한 값 원시 타입(숫자, 문자열, boolean, null, undefined, symbol, object) 타입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다. 한번 생성된 원시 값은 읽기전용(read only)이다. 변수와 헛갈리지 말자~! 변수 : 값을 교체할 수 있다
(정리, 함수 생성 시점과 함수 호이스팅, function 생성자 함수랑, 화살표 함수의 비교, 참조의 의한 전달과 외부 상태의 변경, 순수함수와 비순수 함수) 함수 함수란? 함수 : input을 받아 output을 내보내는 과정을 문으로 구현하고, 하나의 실행단위로
전연 변수의 무분별한 사용은 위험하다.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무조건 적으로 지역변수를 사용하자변수는 선언을 통해 생성되고, 할당을 통해 값을 받는다. 그리고 사용할 일이 없어지면 소멸된다.(만약 소멸 되지 않는다면 메모리 공간에 영원히 남는 문제가 생긴다.)전역변수는 런
ES5까지는 변수를 선언하기 위해 var만 사용할 수 있었다.var는 중복 선언이 가능하여, 이미 선언한 변수를 덮어씌워, 사이드 이펙트가 발생할 확률을 높이는 문제가 있었다.var로 선언한 변수는 코드 블록 내에서 선언해도 모두 전역 변수가 된다.var로 선언한 변수
자바스크립트는 무슨 언어인가요? 특수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스크립트 언어의 하나로, 웹페이지의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언어 이다. 변수 선언, 초기화, 할당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쓰이는 '이름이 붙은 저장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