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 Operation은 SSD나 Main memory에서 granuality에 맞춰서 발생하므로 (가령 cache-line granuality), 해당 크기와 일치하지 않는 모든 write operation은 부가적인 write 과정이 필요하다. 부가적인 write를 'Write Amplication'이라 칭한다.
페이지 크기에 맞춰지지 않는 write operation은 해당 페이지의 데이터를 cache 또는 memory buffer로 읽어야 하며, 다시 page에 기록되어야 한다. 즉 페이지에 in-place 방식으로 기록하는 것 보다 느리게 작동한다. 위 현상을 'Read-Modify-Write'라고 한다.
Operation이 수행되기 전과 수행되고 난 후의 return 값이 persistent해야한다. 즉, crash가 발생하기 전의 completed operation은 완전한 상태로 남아있어야 하지만, crash가 operation이 일어나고 있는 도중에 발생한다면 pre-crash와 post-crash 전후로 operation의 return값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durable linearizability가 만족하지 않는다.
RPC(Remote Procedure Call)란 프로세스간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방법의 한 종류이다. 원격지의 프로세스에 접근하여 프로시저 또는 함수를 호출하여 사용한다. 말 그대로 원격지의 프로시저를 호출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