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열 1~N이 있을 때 길이가 M인 수열을 모두 구하는 문제이다
처음 문제 접근했을 때는 재귀함수를 이용해서 풀었다. 만약 N = 5이고 M = 3인 경우
1 , (2에서 5까지 수 2개 고르기) -> 1, 2, (3에서 5까지 수 1개 고르기) 이렇게 접근했었다. 하지만 예외인 경우도 처리해줄 것이 많고 복잡했다.
일단 이렇게 풀었을 때 코드는 다음과 같다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nAndM(int start, int length, int number, ArrayList<Integer> preced) {
if (number >= 1) {
for (int i = start; i <= length - number + 1; i++) {
preced.add(i);
nAndM(i + 1, length, number - 1, preced);
preced.remove(preced.size()-1);
}
}
else if (number == 0) {
for(int j = 0; j < preced.size()-1; j++) {
System.out.print(preced.get(j)+" ");
}
System.out.println(preced.get(preced.size()-1));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f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f.readLine());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rrayList<Integer> preced = new ArrayList<>();
for (int i = 1; i <= n - m + 1; i++) {
preced.add(i);
nAndM(i + 1, n, m - 1, preced);
preced.remove(preced.size()-1);
}
}
}
문제를 난이도에 비해 너무 어렵게 푼 것 같았던 나는 다른 사람의 풀이를 봤고, 예상대로 더 쉬운 풀이가 있었다. count가 M에 도달하면 바로 출력하고 끝내는 방식의 풀이였는데, 예외 처리를 안하고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매우 짧은 좋은 코드였다.
public class No15650 {
static int[] arr = new int[9];
public static void dfs(int start, int cnt, int n, int m) {
if(cnt == m) {
for(int i = 0; i < cnt; i++) {
System.out.print(arr[i]+" ");
}
System.out.println();
return;
}
for(int i = start; i <= n; i++) {
arr[cnt] = i;
dfs(i+1, cnt+1, n, m);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f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f.readLine());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dfs(1, 0, n, 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