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캐싱(caching) 은 실행하는데 오래 걸리는 연산을 미리 계산해 놓고 저장하여, 재사용하는 기법을 의미합니다.
빅오, 자료형 컴퓨터과학에서 빅오(O)는 입력값이 커질 때 알고리즘의 실행 시간(시간 복잡도) 과 함께 공간 복잡도가 어떻게 증가하는지를 분류하는 데 사용되며,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이 외에도 어떤 자료형을 요구하는지, 이들 자료형에
파이썬의 탄생 1989년 12월, 30대 중반의 네덜란드의 컴퓨터 과학자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은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들의 한계로 크리스마스 프로젝트로 새로운 언어를 직접 만들어보기로 결심했으며, 원칙은 간단했다.
sleep() 함수는 운영체제에 따라 다르지만, 여기서는 mac과 유사한 UNIX, LINUX에서 사용하는 sleep() 함수, usleep() 함수를 알아보겠습니다.
백준 10951번 문제 10952번과 비슷하지만 여기서 차이점은 10952번 문제는 input의 마무리를 (0, 0)으로 알수 있지만, 10951의 경우, input을 마무리하는 숫자가 어떠한 숫자가 입력될지 모르는 것과 몇번 입력되는지 알수 없는것입니다.
파일에 데이터를 저장하는것을 "파일 쓰기", 저장한 내용을 불러오는 것을 "파일 읽기"라고 합니다. C언어에서는 파일을 읽고 쓸 때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fputs(), fgets() 함수와 fprintf(), fscanf() 함수를 사용합니다.
다차원 배열(mulit-dimensional array)은 1차원 배열에 배열을 하나 이상 추가한 2차원, 그 이상의 배열입니다.
포인터 : 변수 혹은 배열의 주소값을 저장할 수 있는 포인터 변수로 (메모리)주소를 알아내거나, 값을 출력 혹은 변경할 수 있습니다.
배열(array)이란, 동일한 자료형의 값 여러 개를 저장하는 연속된 공간. 문자열을 선언할 때는 항상 글자 수 + 1(NULL 값).
함수[함수 선언, 함수 정의, 함수 호출] 함수의 종류[반환값의 유무, 전달값의 유무]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
난수[rand(), srand()], if문과 또 다른 조건문(switch)
조건문(if, else if, else), 이중 조건문, break문, continue문